초기세팅은 요구사항 명세서, 워크플로우, 디자인 레이아웃, ERD, 개발환경 세팅으로 이뤄진다 (차이 있을 수 있음)
1. 요구사항 명세서
💡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수행해야 할 모든 기능과 구현사항의 제약 조건에 대해 개발자와 관련자가 합의된 스펙을 명세한다.
1-1.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하는 이유?
- 프로젝트 전체 규모 파악
- 구현 가능 여부에 대한 논의
- 커뮤니케이션 비용 절약
- 프로젝트 일정 계획 수립
1-2. 무엇을 명시해야하는가?
💡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양식은 없으나 / 필수로 기재해야하는 항목은 유사
1-3. 좋은 요구사항 명세서
- 요구사항 명세서를 읽는 작업자가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 무엇을, 어떻게 구현해야하는지 명확하게 작성
- 하나의 요구사항에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작성하지 않는다.
- 다른 요구사항과 모순되거나 중복되지 않게 한다.
- 꼭 필요하고 중요한 요구사항은 따로 표시해준다
- 동일한 용어 사용
- 난이도가 있는 기능일경우 대체 가능한 방법도 함께 기술
2. 워크플로우 작성
💡 사용자의 서비스 작동 로직을 설명해놓은 문서이다

2-1. 워크플로우 작성법

2-2. 워크플로우 작성툴
3. 디자인 레이아웃
💡 각 페이지별로 각 기능들이 어디에 위치해야 사용자에게 적합할지 고려한 레이아웃

4. 데이터베이스 ERD
💡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개체-관계 모델
→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다이어그램**
→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DB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API를 효율적으로 뽑아내기 위한 모델 구조도이다

4-1. ERD 그리기
DataBase ERD 작성하는 법
5. 프로젝트 초기 세팅
- 사용할 프레임워크와 DB를 연동시켜둔 뒤, GITHUB과 연결해둔다.
5-1. 개발 환경 세팅
- 어떤 언어/프레임워크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
- 예시
- 백 : Java SpringBoot, Java 17, Intelli J
- DB : MySQL
- 프론트 : Re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