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프린트안에 요소 넣고 출력하면 한 줄만 쓰면되는데
왜 굳이 변수 지정하는고?
위에거였으면 hello world에 느낌표 하나만 추가하고싶어도 다 추가해야하고, 추후에 코드 길때 하나하나 찾아서 추가해줘야함
그거 불가하니까 변수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데이터 재사용!
그러면 변수명 선언, 초기화는 어케할까?
변수 선언, 마음대로 만들수 있긴하다만, 그래도 이렇게 하면 좋다!
이런건 굉장히 안좋은 예임
변수에 어떤게 있는지 알 수 있어야함
그래서
이정도는 되어줘야한다는 뜻.
그리고 한글을 사용해도 되지만 왠만하면 영문으로 하라.(왜? 프로그램 자체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
첫번째는 소문자로 지정하라 (왜? 나중에 Class지정할때 충돌날수있음. 혼동날 수 있음. Class는 좀 나중에 배울 예정임)
예악어라고 해서 문법에 포함되는 단어 예)print 이런거 쓰지마라
혹시 예약어 보고싶으면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치면 나옴^^
그리고 특수문자 안됨. 단, 언더바 가능(스네이크기법)
띄어쓰기도 안됨. 그러나 변수랑 = 사이에 띄어쓰기는 가능하고, 이거도 왠만하면 잘 안함
숫자도 사용해도 되지만, 첫글자로 숫자는 사용금지 오류남.
1) 1
2)hight=20
wide=15
print(hight*wide/2)
자료형이란?(data type)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데이터를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형, 논리형으로 구분한 것
데이터 메모리보다 많으면 오버플로우 나기때문에 메모리잘 사용해여함
어떤형이냐에따라 메모리 얼만큼 잡아줄게 하는게 있기 때문에 형을 구분하여 사용해야함
정수는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무한 사용 가능
실수는 약 소수점 17~18자리 이하에서 부터 짤리고, 안나옴 (왜곡)
숫자는 그대로 쓰는건데. 숫자를 ''로 묶는 순간 글자가됨. 그래서 ''로 묶인 숫자는 사칙연산이 안됨
파이썬은 문자, 문자열 구분하진 않고 다 문자열로 구분함 (문자 : 단어 하나, ''만 쓸수 있음, 문자열 : 단어 하나 이상, ""만 쓸 수 있음 but! 파이썬은 이거 다 무시임)
type 함수를 통해서 변수 자료형 확인가능
num1=10
num2='20'
print(type())
num1 <class 'int'>
num2 <class 'str'>
선언하는건 어렵지않은데, 난 저거 1에 4번 어케 저렇게 출력할수 있을지 모르겠듬 왜냐하면
score=100
py=3.14
country='캐나다'
adult=True
yount=False
print('시험성적(',score,')')
print('원주율(',py,')')
print('여행 가고싶은 나라(',country,')')
print('성인을 구분하기 위한 변수(성인:',adult,'미성년:',young,')')
하면
하고 에러남.
그리고 변수 자료형 확인은
print(type(py))
자료형 변환
자료형 변환 함수가있대
문자로 바꾸는건 str()
num1=123
num2=456
print(num1+num2)
num1_1=str(num1)
num2_1=str(num2)
print(num1_1+num2_1)
num1=123
num2=456
print(num1+num2)
num1_1=str(num1)
num2_1=str(num2)
print(num1_1+num2_1)
fNum1=3.14
fNum2=0.123
print(fNum1+fNum2)
fNum1_s=str(fNum1)
fNum2_s=str(fNum2)
print(fNum1_s+fNum2_s)
😎갑자기 나오는 프로그램 꿀팁
주석달기는 앞에 # 붙이기
#붙이면~ 없는셈치고 계산 안때림
많은걸 주석처리할라면 구획 선택하고 ctrl+/ 해제도 동일
그렇게말고 시작부터 여기부터 여기까지 주석할거에요 할라면
'''
어쩌구저쩌구
'''
이렇게 작따로 묶으면 됨
이번엔
var='100'
print(var)
print(type(var))
varint=int(var)
print(varint)
print(type(varint))
strvar='3.14'
print(strvar)
print(type(strvar))
varfl=float(strvar)
print(varfl)
print(type(varfl))
trf=True
print(trf)
print(type(trf))
inttrf=int(trf)
print(inttrf)
print(type(inttrf))
fnt=False
print(fnt)
print(type(fnt))
flfnt=float(fnt)
print(flfnt)
print(type(flfnt))
논리형을 정수로 어케바꾸노 true인데...
컴터에서 ture=1, false=0 임!
str1='10'
str2='20'
print(str1+str2)
intstr1=int(str1)
intstr2=int(str2)
print(intstr1+intstr2)
str1='10'
str2='20'
print(str1+str2)
fstr1=float(str1)
fstr2=float(str2)
print(fstr1+fstr2)
str1='3.14'
str2='1592'print(float(str1)+int(str2))
와! 오늘의 마지막.....
자료형 변환 저 위에것들 외에 것... 한다
빈문자랑 공백은 엄연히 다른거임. 빈문자는 진짜 아무것도없는거고 공백은 공백데이터가 있는 것
빈거는 flase 그래도 공백이라도 있으면 True가 나옴
no=''
print(type(no))
bno=bool(no)
print(bno)
print(type(bno))
no1=' '
print(type(no1))
bno1=bool(no1)
print(bno1)
print(type(bno1))
오 flase라는 단어를 bool형으로 바꿔서 당연히 0일거라 생각했지만, 데이터가 있는 거를 bool로 바꿨으니가 1이된거임!
싱기
var1='True'
var2='False'
print(var2)
print(var1)
print(type(var2))
print(type(var1))bvar1=bool(var1)
bvar2=bool(var2)
print(bvar1+bvar2)
var1='True'
var2='False'bvar1=bool(var1)
bvar2=bool(var2)
print(bvar1+bvar2)
print(bvar1-bvar2)
print(bvar1*bvar2)
print(bvar1/bvar2)
헥헥.... 끝났나..?
오늘 끝났다~!
2023-06-02 복습완료
공부할때는 드럽게 오래걸렸는데 복습은 빨리되네 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