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2022년이 끝났다. 올 한해는 작년만큼이나 나에게 여러가지 의미를 갖는 해였다. 처음으로 한 회사의 근속년수를 1년을 채우기도 했고, 결혼이라는 인생의 큰 이벤트를 준비하기 시갖한 해이기도 하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하나의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으로, 자료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의미한다.함수형 프로그래밍을 한 줄로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부수효과가 없는 순수함수를 1급 객체로 간주하여 파라미터나 반
CSS min은 min(a, b, ...) 의 방식으로 사용하며 인자로 받은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값으로 취하는 함수이다.예시위와 같이 사용한다면, .container의 width 는 50%와 200px 중 작은 것을 골라 적용하게 된다. 내가 작성한 예시를 기준으
nest 공부를 하다보니 DTO, Entity 라는 개념을 자주 듣게 되어 그것이 무엇인지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Entity란 쉽게 말하면 하나의 실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B 테이블에 존재하는 Column들을 필드로 가지는 객체를 말합니다. Entity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쉽게 게시판을 만들어보자(with typescript)
해시 테이블의 정의해시 테이블은 고정된 크기의 자료 구조로 처음에 크기가 정해진다.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면 자료를 쉽고 빠르게 저장할 수 있고, 키-값을 기반으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자바스크립트 객체는 해시테이블과 같은 방식으로 키와 해당 키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