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열 분석 기법과 응용(1. 시계열 평활기법)
강의주소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
- 하나의 변수에 대한 시간에 따른 관측치를 시계열 또는 시계열 데이터라 함
- 시계열 분석 목적
- 시계열의 특성(추세, 계절성 등)을 요약하고 시간에 따른 패턴 (자기 상관성 등) 분석
- 시간에 따른 패턴을 바탕으로 모형화하고 미래값을 예측
- 회귀모형과는 달리 다른 변수를 도입하지 않고 자신의 변수의 과거 패턴이 미래에도 계속 된다는 가정하에 변수의 과거값을 바탕으로 미래값 예측
- 시계열 패턴은 수평, 추세, 계절성이 복합된 것으로 간주
이동평균법
- 매 시점에서 직전 N개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활치로 사용
단순 이동평균법
- 시계열 데이터 {X1,X2...}가 수평적 패턴인 경우 사용
- 시점 t 에서의 단순 이동 평균
Mt=N1Σk=t−N+1tXk
- 시점 t 에서의 단순 이동 평균
Mt+1=Mt+NXt+1−Xt−N+1
- 시점 T에서 시점 T+1의 값 예측
fT,1=MT
- N이 클수록 평활화 효과가 커짐
이중 이동평균법
- 시계열 데이터 {X1,X2...}가 선형추세인 경우 사용
Xt=c+bt+at
- 단순 이동평균은 추세를 늦게 따라감
E[Mt]=E[N1Σk=t−N+1tc+bk+ak]=c+bt−Nb2N(N−1)=c+bt−2b(N−1)
- 이중 이동 평균 : Mt(2)=N1Σk=t−N+1tMk
E[Mt(2)]=c+bt−b(N−1)
- 시점 T에서 시점 T+1의 값 예측
fT,1=E[XT+1∣XT,XT−1...]=c+b(T+1)
f^T,1=c^+b^(T+1)=2MT−MT(2)+b^
b^=N−12(MT(2)−MT)
- k-단계 이후 예측
f^T,k=c^+b^(T+k)=2MT−MT(2)+kb^
단순 지수평활법
- 시계열 데이터 {X1,X2...}가 수평적 패턴인 경우 사용
- 시점 t 에서의 단순 지수 평활치
St=Σk=1tα(1−α)t−kXk
Σk=1tα(1−α)t−k≈1
- 시점 t+1 에서의 단순 지수 평활치
St+1=(1−α)St+αXt+1
- 시점 T에서 시점 T+1의 값 예측
fT,1=ST
- α∈[0,1]이 작을 수록 평활효과가 커짐
이중 지수평활법
- 시계열 데이터 {X1,X2...}가 추세 패턴을 경우 사용
Xt=c+bt+at
- 단순 지수평활치는 추세를 늦게 따라감
E[St]=E[Σk=1tα(1−α)t−k(c+bk+ak)]=c+bΣk=1tkα(1−α)t−k
=c+bΣl=0t(1−(1−α)t−l)=c+bt−α1−αb
- 이중 지수평활치 : St(2)=Σk=1tα(1−α)t−kSk
E[St(2)]=E[St]−α1−αb
- 시점 T에서 시점 T+1의 값 예측
fT,1=E[XT+1∣XT,XT−1...]=c+b(T+1)
f^T,1=c^+b^(T+1)=2ST−ST(2)+b^
b^=1−αα(ST−ST(2))
- k-단계 이후 예측
f^T,k=c^+b^(T+k)=2ST−ST(2)+kb^
홀트 모형
- 시계열 데이터 {X1,X2...}가 추세 패턴을 경우 사용
- 수평 수준과 추세를 각각 갱신하는 모형
- 수평수준 : Lt=αXt+(1−α)(Lt−1+bt−1),(α∈(0,1))
- 추세 : bt=β(Lt−Lt−1)+(1−β)bt−1,(β∈(0,1))
- T 시점에서 T+k의 값 예측
fT,k=LT+kbT
윈터스 모형
- 홀트 모형에 계절성을 추가반영하여 확장시킴
- 수평수준, 추세, 계절성을 각각 갱신하는 모형
- 수평수준 : Lt=st−mαXt+(1−α)(Lt−1+bt−1),(α∈(0,1))
- 추세 : bt=β(Lt−Lt−1)+(1−β)bt−1,(β∈(0,1))
- 계절성 : st=λLtXt+(1−λ)st−m,(λ∈(0,1))
초기치들이 필요하며, 계절성지수는 평균이 1이 되도록 조정 필요
- 시점 T에서 시점 T+k의 값 예측
fT,k=(LT+kbT)sT−m+k
분해법
- 분해법에 의한 예측 절차
1) 중심 이동평균으로 평활치 산출
CMt : t번째 값이 중심에 오도록 하여 계절성 m 만큼의 값의 평균
2) 추세제거 시계열 산출
DXt(T)=CMtXt
3) 계절성 지수 산출
- 계절별 추세제거 시계열 값의 평균으로 계절성 지수 산출
4) 계절성 제거 시계열 산출
DXt(S)=stXt
5) 회귀모형으로 추세 추정
6) 추세 및 계절성 지수를 결합하여 예측치 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