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와 On-premise 알아보기

석준·2023년 8월 10일
0

캡스톤디자인

목록 보기
5/9

Cloud storage(클라우드 저장소)란?

외부 서비스 공급자가 데이터를 호스팅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터 센터 내에 있는 Cloud 공급자의 서버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며, 기업은 월간 구독 요금을 지불하고 Cloud 서비스에 접근한다. 이 방식은 초기 투자 비용이 낮고 유연한 구독 모델을 제공하지만,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

On-premise storage(온-프레미스 저장소)란?

On-premise는 조직 내부에 위치한 서버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에서는 회사가 직접 서버를 구매하거나 유지보수하며, 데이터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내부에서 공유된다. 이는 초기 투자 비용과 유지 관리 부담이 있을 수 있으며, 보안, 데이터 백업,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직접 관리해야 한다.

Hybrid cloud storage(하이브리드 저장소)

Hybrid cloud는 On-premise와 Cloud의 조합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스토리지 인프라를 의미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조직이 내부 데이터 센터와 Cloud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유연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Hybrid cloud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이점이 있다.

  • 데이터 보완과 최적화 :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는 On-premise에서 관리하면서, 즉시 액세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On-premise에서 캐시로 활용한다. 반면에 비활성화된 Cold data는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스토리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중복성과 내결함성 강화 : 데이터가 On-premise와 Cloud 모두에 저장되기 때문에 중복성과 내결함성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데이터 손실 위험을 줄이고 비상 대비 및 재해 복구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다.

  • 유연한 확장성 : 스토리지 요구 사항이 증가할 때 Cloud 리소스를 활용하여 쉽게 확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은 빠르게 변화하는 데이터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 비용 효율적 관리 : 다양한 데이터 유형과 사용 패턴에 따라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산 관리함으로써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조직의 요구 사항과 우선 순위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데이터 관리 및 보안 측면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문헌

Paul Diamond. (2020, September 25). 클라우드 저장소와 온-프레미스 저장소 비교하기: 유의해야 할 9가지 요소. Retrieved 01:02, August 11, 2023, from
https://www.microsoft.com/ko-kr/microsoft-365/business-insights-ideas/resources/cloud-storage-vs-on-premises-servers

Wikipedia contributors. (2023, January 26). Hybrid cloud storage. In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trieved 01:10, August 11, 2023, from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Hybrid_cloud_storage&oldid=1135743809

profile
ERICA SW 19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