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백준을 풀어보았다...완탐은 아닌거같아서 dp인거 같아서 풀어보려고했는데, dp 개념이 흔들렸다.박사님께서 한 번 명료하게 설명해주셔서 풀 수 있었다.많이 부족하니, 시간날때마다 한 번씩 풀어보자.다음부터는 입력은 되도록 sys.stdin.readline()으
이제 c++로 개발할 일이 많아질테니, 친숙해지자는 의미에서 c++로 풀어보았다.
배열 초기화 해주는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 학부생 시절 다 알았던 문법인데 까먹었다,,,std::fill_n(array,size,value);memset(array,value,size);memset의 경우, memory.h나 string.h
c++ python
해당과정은 MAX값을 루트 노드로 가져오는 과정이다.전체적인 힙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이다.해당 코드의 시간 복잡도는 for문 O(n) × O(logn) = O(nlogn)의 시간복잡도가 소요된다.전체 for문에 대해서 do ~ while문을 실행하는데, root는
솔직히 스택이라고 말해주기 전에는 절대 못 풀었을거다...후기보니깐 다들 쉽다는데, 생각을 잘못된 방향으로 해서 상당히 오래걸렸다. 자주 풀어보는게 중요한 거 같다... 감을 잡기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