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어떤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할지 점검을 했으니 이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front-end와 back-end팀을 나누어 작업을 진행하고 각각 React와 Spring을 사용하여 개발하기로 했다해당 프레임워크를 선정한 이유는 학습의 목적이기 때문에 특별히 특성을
지난번의 작업에 이어서 유저의 쿠키를 활용하여 요청을 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했다쿠키는 브라우저에서 가지고있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여러가지로 문제가 발생했다브라우저에서는 모든 쿠키를 가지고 있지만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쿠키는
서론 Unsolved.wa 프로젝트 기획 회의 중, 현재의 방식으로는 api 호출제한의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가 불가능 할 것 같아 구현 방식을 변경하기로 하였다 먼저 기존의 방식은 백엔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전부 solved.ac api를 이용하여 호출해 작
시작하기 solved.ac의 api는 커뮤니티에서 돌아다니는 이야기와 개인적인 429에러 발생시점 경험으로 봤을때 약 15분에 300회정도의 호출제한이 걸려있는듯 하다 평소에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그 제한을 넘는경우는 이전까지 잘 없었으나 최근 스트릭 염색 기능이
학교내 알고리즘 동아리 AnA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행사들을 기획하고, 특히 매년 boj 플랫폼을 이용하여 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