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가 정책상 비밀번호가 아닌 Personal Access Token(이 후 PAT)을 이용해서만 외부에서 Authorization을 할 수 있게 된 후 많은 분들이 PAT을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작년 10월 기존의 PAT을 Tokens (classic) 이라는
최근 Github Actions 실행 로그에 다음과 같은 warning이 발생하기 시작했다https://github.com/actions/runner-images/issues/6399해당 알림에 명시된 링크를 들어가보면 ubuntu-latest runner가
Devrank는 게임과 유사한 등급 시스템과 랭킹을 제공하여, Github 활동시 사용자에게 성취감을 주고 오픈소스 활동을 장려하는 서비스 입니다.배포주소내가 오픈소스 활동을 꾸준히 이어올 수 있었던 이유가 뭐냐고 묻는다면 성취감 때문인 것 같다.Dependancy S
내가 처음 이 회사를 알게 된 건 2019년 여름이다.GDG Seoul 모두의 Toy Story 라는 행사에서 지인이 발표한다고 하여 들으러 갔다가 한 발표가 굉장히 흥미로웠다.한창 머신러닝에 관심을 가지던 시기였는데 머신러닝에 활용하는 GPU 가상화 관리 도구에 관한
42World Back-end팀 정기 회의 중 프러덕트 코드의 수정없는 Github Action workflow 변경만이 된 PR에서 CI Test가 실패하는 이슈가 발생했다원인을 살펴봤더니프러덕트 코드의 문제가 아닌 CI Test workflow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
지금까지 어떤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할지 점검을 했으니 이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front-end와 back-end팀을 나누어 작업을 진행하고 각각 React와 Spring을 사용하여 개발하기로 했다해당 프레임워크를 선정한 이유는 학습의 목적이기 때문에 특별히 특성을
지난번의 작업에 이어서 유저의 쿠키를 활용하여 요청을 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했다쿠키는 브라우저에서 가지고있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여러가지로 문제가 발생했다브라우저에서는 모든 쿠키를 가지고 있지만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쿠키는
서론 Unsolved.wa 프로젝트 기획 회의 중, 현재의 방식으로는 api 호출제한의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가 불가능 할 것 같아 구현 방식을 변경하기로 하였다 먼저 기존의 방식은 백엔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전부 solved.ac api를 이용하여 호출해 작
시작하기 solved.ac의 api는 커뮤니티에서 돌아다니는 이야기와 개인적인 429에러 발생시점 경험으로 봤을때 약 15분에 300회정도의 호출제한이 걸려있는듯 하다 평소에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그 제한을 넘는경우는 이전까지 잘 없었으나 최근 스트릭 염색 기능이
학교내 알고리즘 동아리 AnA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행사들을 기획하고, 특히 매년 boj 플랫폼을 이용하여 알고
시작하기 Github 에서는 Security 탭에서 다양한 보안 기능들을 제공해준다 그 중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dependabot에 대해 소개한다
서론 최근 나는 학교에서 진행하는 학기제 인턴 프로그램과 42World 라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정말 많은 성장을 하고있다고 생각했다 물론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목의 내용도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되지만 역시 앞으로 취직을 위해서는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우는 것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