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의 EC2의 개념을 정리했다.
AWS의 S3의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했고 Nodejs를 이용해 버킷 생성, 업로드, 다운로드를 구현했다.
AWS 기존 인프라에서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여 인스턴스를 이전시키는 대규모 이사를 하고 있다.포스트맨에서 로그인을 하는 signin request를 던지는데 잘되는데, 회원가입을 하려는 signup request는 되지 않는 것이다.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으로
윈도우에서 ElastiCache Redis 클러스터에 원격 접속할 일이 생겼다.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보통 private subnet에 있는 Redis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VPN을 통해 권한을 얻거나, Bastion EC2를 이용해 접속해야 할
PM2로 실행하다보니 로그가 쌓여 EBS 볼륨이 가득차서 확장해야 하는 상황이었다.1) 스냅샷 생성EC2와 연결된 해당 EBS의 스냅샷을 생성한다.2) 스냅샷을 이용해 새로운 볼륨을 생성한다.물론, 기존 볼륨보다 크기를 늘려서 생성한다.3) 교체할 인스턴스 중지하고,
EC2에서 PM2로 서버를 실행하고 배포한 상황인데 서버가 다운됐다.업로드중..원인은 No space left on device였다.PM2 Log가 쌓여서 EBS의 볼륨이 가득찼던 것이다.EBS의 볼륨을 늘렸고, PM2에서 로그를 자동으로 지워주고 관리하는 기능을 지원
목적 : 누가 세션 매니저에 접속하여 어떤 작업을 했는지 확인을 위함 (로그를 저장하는 것)Session Manager > 기본 설정 탭에서 CloudWatch logging을 Enabled로 설정 → encryption은 해제 → 만든 로그 그룹 선택이렇게 설정하게
목적 : 기본적으로 EC2 모니터링 지표로 CPU 사용률, 네트워크 입출력 등은 나오지만 메모리와 디스크 용량 지표는 제공되지 않는다. 메모리, 디스크 용량의 로그를 기록하며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주의사항 : 이 작업은 설정에 따라 굉장히 많은 요금이 부과될 수
현재 사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프라에서 grpc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것이 있다.기존에는 NLB(네트워크 로드밸런서)를 사용하여 구축했었지만,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ALB(어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로 grpc 프로토콜로 통신하려 한다.2020년 11월 부로 ALB에서
AWS에서 웹 앱을 배포하는 방법 중 하나인 S3 버킷 + Cloudfront를 이용해 배포할 수도 있지만, 현재 서비스할 웹은 외부에서 사용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내부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므로 Nginx를 사용해 EC2에 웹서버와 WAS를 배포하려고 함운영체제 설정 (U
S3 버킷의 pre-signed url을 활용하여 객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Dashboard를 만들자
AWS Summit 2023 Seoul Day 2 기술 세션 참석 후기
로컬 환경에서의 TCP 서버는 잘되었는데, AWS 클라우드 상에 배포했더니 TCP connection이 불안정해진것을 해결해보자
사내에서 Github Action을 사용하여 프론트엔드 프로젝트의 배포를 자동화한 과정을 공유하려 한다.
작년에 이어, AWS Summit 2024에 참석하고 느낀것을 공유합니다.
AWS에서 주최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개발자 부트캠프 1일차 후기
AWS에서 주최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개발자 부트캠프 2일차 후기
AWS Amplify의 문제점을 맞닥뜨리고 해결해나간 과정을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