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1] 콜라 문제

Heedon Ham·2023년 5월 12일
0
post-thumbnail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빈 병 a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입출력 예

abnresult
212019
31209

첫번째 예시가 유명한 콜라 문제입니다.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화된 풀이로 보면 n을 a로 나눈 몫에 b를 곱한 개수가 새로 얻을 콜라 개수입니다.

기존 콜라 개수는 새로 얻을 콜라 개수에 기존 n에서 a로 나눈 나머지 개수를 더한 값입니다. 이 콜라 개수가 a개 미만일 때까지 계속해서 구하면 됩니다.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Int, _ b:Int, _ n:Int) -> Int {
    var remainCoke = n
    var count = 0
    
    while remainCoke >= a {
        count += remainCoke / a * b
        remainCoke = (remainCoke / a * b) + (remainCoke % a)
    }
    
    return count
}

참고

다른 해설 중에 신선한 풀이를 보았다.

func solution(_ a:Int, _ b:Int, _ n:Int) -> Int {
    return (n > b ? n - b : 0) / (a - b) * b
}

조건에 따라 무조건 a가 b보다 크다.

기존 콜라 개수 n이 b보다 작거나 같으면 a개를 줄 수 없으므로 교환을 할 수 없다. 따라서 0번 교환을 한다.

a개를 주면 b개를 받는 행위는 a-b라고 할 수 있다.
교환하지 못할 때까지 반복하므로 마지막 교환때는 무조건 돌려받지 못한다.
따라서 (n-b)개 만큼은 무조건 교환을 한다.

(n-b)/(a-b)는 전체 n개의 교환횟수라고 할 수 있다.

교환마다 b개를 받으므로 (n-b)/(a-b) * b를 하면 최종 교환 개수를 얻을 수 있다.

profile
dev( iOS, Reac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