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막대그래프를 더 다양한 방식으로 그려볼 수 있다.

plt.barh() : 수직 그래프가 아니라 수평(horizontal) 그래프를 그려줌.

.set_hatch() : 막대그래프 객체 뒤에 붙여서, bar에 원하는 무늬를 집어넣을 수 있음. (무늬 종류는 역시 구글링 하면 다 나옴.)
plt.text()로(06차시 참고) 하긴 하는데, 좌표를 입력해주는 과정이 약간 복잡함.enumerate에 bar 객체를 통째로 넣어 for 반복문을 만듦.rect는 개별 bar의 정보(크기, 위치 등)를 담은 객체로, enumerate에서 튀어나온 거임..get_height() : 객체의 세로 길이를 구해주는 메소드.plt.text()로 삽입하는 텍스트의 y 좌표가 각 bar의 높이가 되는 거임!
ha, color 등 세부 설정도 당연히 가능함.
❓아니 분명 06차시에 txt 집어넣을 때는 걍 txt만 했는데, 왜 [5]에서 values는 values[idx]로 넣어주는 거냐고... ➡️ txt는 enumerate에서 튀어나온 객체라서 바로 순서대로 쓸 수 있는데, values는 그냥 하나의 리스트 뭉치라서 바로 사용할 수 없고 인덱싱으로 하나씩 뽑아줘야 쓸 수 있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