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클러뷰 내부에서 리사이클러뷰를 포함하는 경우 바깥의 리사이클러뷰의 현재 보여지는 포지션이 내부에 전달이 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이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에서 보여지는 position이 몇번째 포지션인지 확인 후 내부 어댑터에 이벤트를 넘겨주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고
https://medium.com/@al-e-shevelev/how-to-prevent-multiple-clicks-in-android-jetpack-compose-8e62224c9c5e코루틴에 기반을 둔 방법이 있다. 이 방식에서는 SharedFlow를 생성
\[https://developer.android.com/jetpack/compose/navigation?hl=ko먼저 NavHost를 NavController를 단일 NavHost 컴포저블과 연결해야 합니다. NavHost는 구성 가능한 대상을 지정하는 탐
개발을 하면서 앱이 점점 복잡해 질수록 Fragment끼리의 통신을 필요로 하게 된다.사용자의 이벤트에 따라 올바르게 반응하거나 한가지 이벤트에 대해서 서로 다른 여러개의 Fragment가 반응해야 할 경우 공통의 채널이 필요로 하게 된다.안드로이드에서는 보편적으로 두
Compose는 선언적이므로 Compose를 업데이트하는 유일한 방법은 새 변수로 동일한 컴포저블을 호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변수는 UI 상태를 표현합니다. 상태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재구성됩니다. TextField와 같은 항목은 명령형 XML 기반 뷰에서처럼 자동으로
PendingIntent는 Pending 이라는 단어의 뜻을 알면 된다.Intent의 의미Android에는 크게 4대 컴포넌트들이 있다.Activity,Service,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인텐트는 이러한 구성요소들 간의 작업을
클로저는 내부함수가 외부함수의 context에 접근 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내부함수에서 외부함수의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외부함수의 코드블럭이 끝나도 내부함수에서 참조한 변수가 계속 살아있게된다. 이 뜻을 의미하려면 다음 코드예시를 보자.정답은 외부함수 x 값이 살아
visibility를 이용한 true,false로 아이콘을 상황에 맞추어 보여주고 지울수 있다.하지만 갑작스럽게 사라지고 나타난다면 유저로 하여금 당황스러움을 줄 수 있다.안드로이드에서는 이에 따른 Fade In, Fade Out 애니메이션을 지원하고있고 2가지 방법이
Jetpack compose를 공부하던 중 선언형UI라는 단어가 나왔고 이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기존의 UI를 만드는 방식으로 기존 안드로이드는 트리형태로 뷰를 구성한다.레이아웃을 맨 아래에 깔고 그 위에 브랜치처럼 텍스트뷰, 이미지뷰를 넣고 다시 레이아웃을넣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