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표(!)는 Not이란 뜻을 가진다
let a = true; console.log(!a); 결과값 : false;
&&(and) : true && true // 연산자가 둘다 참일때 참을 반환함
||(or) : true || false // 둘중에 하나라도 참일때 참을 반환함
== : 피연산자와 피연산자의 값이 같으면 참을 반환
=== : 피연산자와 피연산자의 값이 같고, 같은 타입이면 참을 반환
!= : 피연산자와 피연산자의 값이 같지 않으면 참을 반환
!== : 피연산자와 피연산자의 값이 같지 않거나, 타입이 다르면 참을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크면 참을 반환
(>=) :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을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작으면 참을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을 반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의 자료형을 알려주는 typeof
란 것이 있다.
let aa = 1;
let bb = "2"
console.log(typeof aa) -> number
console.log(typeof bb) -> string
차후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