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프로그래머스 문제풀기를 진행중인데 리스트를 찢고 붙히고 문자형, 숫자형 변환하고 이런 작업들이 많다보니 찾아보니 활용이 아주 좋은 것 같아서 오늘의 배움으로 기록하려고 한다.
리스트로 구성된 함수를 모두 붙혀주어야 할 때 사용되는 함수!
바로 join함수이다.
Join 함수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 말 같은데 예전에 친구들과 "쪼인할래??"라고 말하던게 생각이 들었었다. 각각의 친구들끼리 놀고 있을 때 함께 만나서 같이 놀자는 의미였었는데 말 그대로 리스트 안에 포함된 자료들이 합쳐진다고 이해하면 좋다.
입력 형태
''.join(리스트명)
# 맨 앞의 작은 따옴표는 그 사이의 특정 문자나 기호를 넣게되면 합쳐지는 리스트열의 사이사이에 해당 문자나 기호가 반복되어 붙는다. # .join으로 함수를 불러내고 소괄호() 사이에 합치고 싶은 리스트명을 포함한다. list = ('a', 'b', 'c') '/'.join(list) -> a/b/c
프로그래머스 문제)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
![]()
* 해당문제를 풀던 중 result에 넣은 '수'와 '박'을 모두 합쳐주는데에 join을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