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Packet)

썹스·2022년 8월 27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4/11

1. 패킷(Packet)

패킷(Packet)이란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로 네트워크에서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이다.


위 그림은 패킷의 기본 구조이다.

패킷은 헤더, 페이로드, 풋터(주로 사용X)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자 수행하는 역할이 다르다.

  • 헤더
    페이로드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정보이다. 헤더는 데이터의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 페이로드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이다.

  • 풋터
    페이로드의 뒷부분에 위치하는 정보이다. 헤더와 기능 면에서 큰 차이는 없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특정 프로토콜에만 사용)

실제 패킷을 사용할 때는 여러 프로토콜을 캡슐화(Encapsulation)하여 최종적인 하나의 패킷을 사용한다.

1-1. 캡슐화(Encapsulation)

하나의 패킷을 페이로드로 사용하여 또 다른 패킷을 만드는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라고 한다.

페이로드 앞에 위치하는 헤더와 페이로드는 계층의 순서를 따른다.

1-2. 디캡슐화(Decapsulation)

캡슐화된 패킷을 전달받아 확인하는 과정을 디캡슐화(Decapsulation)라고 한다. 패킷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패킷의 정보와 데이터를 확인한다.

패킷을 확인할 때는 하위 프로토콜부터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1-3. 계층별 패킷의 이름 PDU

헤더의 계층에 따라 패킷의 종류가 나뉘며, 나뉜 이름이 각각 다르다.



Reference

따라하면서 배우는 IT_네트워크 기초(개정판)

profile
응애 나 코린이(비트코인X 코딩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