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딩, 보더, 마진을 처음 접했을때 다 같은거 아니야..? 했는데 큰 착각이였다.
CSS에서 패딩, 보더, 마진은 모두 요소의 공간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지만, 각각의 역할과 위치가 다르다.
패딩은 콘텐츠와 테두리 사이의 공간
-> 쉽게 말해, 요소의 내용물과 테두리 사이에 있는 여백, 패딩을 늘리면 콘텐츠 주변에 더 많은 공간이 생긴다
.box {
padding: 10px;
}
-> 박스 안의 내용물 주변에 10픽셀의 여백이 생긴다
보더는 요소의 테두리, 패딩 바깥쪽에 위치하며 요소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box {
border: 1px solid black;
}
-> 1픽셀 두께의 검은색 실선 테두리
마진은 요소의 외부 여백. 즉, 요소와 다른 요소 사이의 간격을 뜻한다 마진을 이용해 요소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box {
margin: 20px;
}
-> 박스 주변에 20픽셀의 여백을 만들어, 다른 요소들과 거리를 둔다
마진 병합(margin collapse)은 CSS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인접한 요소들의 마진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
1) 형제 요소 간
-> 상하로 인접한 두 요소의 마진이 병합
2) 부모-자식 요소 간
-> 부모 요소의 마진과 첫 번째 또는 마지막 자식 요소의 마진이 병합
3) 빈 요소
-> 내용이 없는 요소의 상하 마진이 병합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
box-sizing: content-box;
→ 패딩과 보더 포함 안함box-sizing: border-box;
→ 패딩과 보더 다 포함함이 세 가지 요소를 잘 활용하면,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한다. 잘 구분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