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프로젝트 때 Github Actions 와 AWS Codedeploy를 이용한 CI/CD를 구축했었다. 그러던 어느날 Docker로 서버 배포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냥 지나가다가 Docker를 들어본 적이 있다. 돌고래 위에 올라간 컨테이너들로 기억하는데
Ec2 생성 시 리전을 지정한다. 리전은 AWS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위치를 의미한다.내가 서비스 하려는 지역의 주 고객들이 사용하는 지역과 서버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느려진다.( 따라서 서울 유저인데 미국 리전으로 서버를 구축하면 안된다. ㅋ ㅋ) 그리
source 디렉토리 안에는 /source/build/libs/BE-0.0.1-SNAPSHOT.jaraws-linux2의 로컬 nginx 설정.nginx까지 도커에 올리고 싶었지만 그건 다음을 기약하며 .. EC2 서버의 내장 nginx 이용하여 프록시 진행ngin
Redis는 TTL(Time-To-Live)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만료 시간을 설정가능그래서 서버에 저장할 refreshToken 의 만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에 refreshToken 구현에 많이 쓰임 redis 6.2 버전 이후부터는 EXAT 옵션이
jenkins,Docker,nginx 를 이용한 Blue/Green 방식 무중단 배포EC2 내에 아래와 같은 파일이 존재해야한다.이 파일들은 docker-compose.yaml 의 volumes에 나와있는 사항에 따라 띄워진 docker 내부에서 해당 위치에 복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