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DB 접근 기술

slee2·2021년 11월 7일
0
post-thumbnail

https://www.h2database.com/html/main.html

위 사이트에서 AllPlatform다운.

h2/bin 으로 들어가

권한 설정을 해준다.(맥기준) chmod 755 h2.sh

./h2.sh

들어가면 아이피 주소를 localhost로 바꾼다.

jdbc:h2:~/test 인 상태로 처음 실행을 한다.
그후에 홈으로 가면 test.mv.db 파일이 생성되어있다.

그 후에는 jdbc:h2:tcp://localhost/~/test로 접속하면 된다.

현재 이미 테이블이 만들어져있는 상태인데, 처음에 MEMBER 테이블이 없다.

이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

입력하고 Run을 누르면 생성된다.

간단하게

SELECT * FROM MEMBER
테이블 내용을 보여준다.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이름')
이름이 member의 name으로 들어간다.

spring1과 spring2를 넣은 후 조회하면

이런 식으로 나온다.

또, 직접 다루기 위해 sql을 만들어야 되는데

이런 식으로 따로 폴더를 만든 후 sql파일을 만들고 똑같이 넣으면 된다.

순수 JDBC

어떤 식으로 데이터베이스가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보는 형태라 이 부분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기 보다는 그냥 편하게 보는 느낌을 가지면 된다.

회원 정보를 DB로 연결하기

이 정보를 스프링에 연결해줘야한다. 이를 위해

이렇게 하면 DB와 코드가 연결이 된다. 그리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후 사용하기 위해

그리고 원래 MemoryMemberRepository.java를 참조하고 있던 것을 Jdbc로 바꿔준다.

그림으로 보면 이렇다.

이렇듯 원래 연결되어있는 것을 끊고 다른 것으로 연결해도 유동적이게 잘 해결이 된다. 이것이 객체 지향 언어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회원 목록

회원 등록 후 목록

추가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스프링을 껏다 켜도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인프런 홈페이지 - https://www.inflearn.com/
강의 제목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