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 또는 두 시스템 사이의 활성화된 접속
- 세션의 지속적인 이증 문제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 때문에 쿠키는 서버의 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음.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함.
- 보안 - 쿠키 < 세션
- 요청 속도 - 쿠키 > 세션 (세션은 서버의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
- 접근 제어는 적절한 권한을 가진 인가자만 특정 시스템이나 정보에 접근하도록 통제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보안 수준을 갖추기 위한 가장 기본적 수단.
-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제어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
IP
와서비스 포트
.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리 인터페이스
운영체제 | 서비스 이름 | 사용 포트 | 특징 |
---|---|---|---|
유닉스 | 텔넷 | 23 | 암호화되지 않음 |
유닉스 | SSH | 22 | SFTP 기능 |
유닉스 | XDMCP | 6000 | 유닉스용 GUI |
유닉스 | FTP | 21 | 파일 전송 서비스 |
윈도우 | 터미널 서비스 | 3389 | 포트 변경 기능 |
윈도우 | GUI 관리용 툴 | VNC, Radmin 등 |
- Inetd 데몬은 클라이언트로부터 ineted가 관리하는 텔넷이나 SSH, FTP 등에 대한 연결 요청을 받은 후 해당 데몬을 활성화하여 실제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데몬과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함.
- TCPWrapper가 설치되면 inetd 데몬은 TCPWrapper의 tcpd 데몬에 연결을 넘겨줌. tcpd 데몬은 접속을 요구한 클라이언트에 적절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 후 해당 데몬에 연결을 넘겨주며 이때 연결에 대한 로그를 실시함.
- 오라클은 $ORACLE_HOME/network/admin/sqlnet.ora 파일에서 설정
- 200.200.200.100 과 200.200.200.200 이라는 두 IP의 접근을 허용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추가
tmp.invited_nodes=(200.200.200.100, 200.200.200.200)
- MS-SQL은 IP에 대한 접근 제어를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으므로 방화벽을 통해 IP 접근제어를 수행
- 응용 프로그램의 목적과 역할에 따라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
-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IIS와 아파치 역시 IP에 대한 접근 제어를 제공.
- 네트워크 장비에서 수행하는 IP에 대한 접근 제어로는 관리 인터페이스의 접근 제어와 ACL(Access Control List)을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 접근 제어가 있음.
- 네트워크 장비의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 제어는 유닉스의 접근 제어와 거의 같음.
- ACL을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접근 제어는 방화벽에서의 접근 제어와 기본적으로 같음.
NTFS 권한의 종류
- 모든 권한, 수정, 읽기 및 실행, 디렉터리 내용보기, 읽기, 쓰기
drwxr-xr-x 5 slee2 2021_seoul 170 Sep 6 09:25 cpp module 00
파일의 종류와 권한 : rwxr-xr-x
파일의 소유자 : slee2
파일에 대한 그룹 : 2021_seoul
파일 | 소유자 | 그룹 | 사용자 |
---|---|---|---|
d | rwx | -xr | -x |
chmod 숫자 파일
로 설정가능
질의문에 대한 권한 관리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질의문.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생성하고 개발할 때 주로 사용하고 운영 중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 CREATE: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 DROP: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
- ALTER: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다시 정의.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의 운영 및 사용과 관련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질의문으로 데이터의 검색과 수정 등을 처리.
- SELECT: 사용자가 테이블이나 뷰의 내용을 읽고 선택.
- INSERT: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데이터 입력.
- UPDATE: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객체에 있는 데이터 수정.
- DELETE: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있는 데이터 삭제.
DCL(Data Control Language)
- 권한 관리를 위한 질의문.
- GRANT: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권한을 부여.
- DENY: 사용자에게 해당 권한을 금지.
- REVOKE: 이미 부여된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권한을 취소.
-DDL과 DML은 DCL에 의해 허용(grant) 또는 거부(deny)됨.
- DCL에 의한 권한 부여 또는 회수 과정
뷰는 각 사용자에 대해 참조 테이블의 각 열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것이 불편해서 만든 가상 테이블
[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테이블에 대한 접근제어]
[뷰를 사용하는 경우의 테이블에 대한 접근제어]
-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 내의 권한 관리보다 응용 프로그램 자체의 실행 권한이 더 중요함.
- 응용 프로그램은 자신을 실행한 계정의 권한을 물려받으므로 보안상에 문제가 있는 취약한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 계정의 권한이 악용되는 문제가 발생.
- 윈도우의 IIS에서는 실행 프로세스 권한을 별도로 만들어 사용.
- 유닉스에서는 nobody와 같이 제한된 계정 권한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