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 운영 체제라고도 하는 오픈스택 프로젝트는 여러 다른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오픈스택 설치 시 여러 프로젝트 중 일부만 포함 가능하다.
- 파이썬으로 구현된 클라우드 관리를 위한 오픈소스
-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들과 같은 자원들을 모아 이들을 제어하고 운영하기 위한 클라우드 Operationg System
- IaaS 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자원을 관리하는 여러 개의 하위 프로젝트들로 이루어짐
- 계산,저장소,네트워크 자원들을 관리하는 클라우드 운영체제
- 서버의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와 관계 없이 클라우드 컴퓨팅 개발의 표준을 제공하는 것이 오픈스택입니다.
레드햇(Red Hat)의 정의에 따르면, IT 업계에서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이란 용어는 "컴퓨터 자원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자동화된 설정, 관리 및 제어 체계"를 의미한다.
같은 의미를 차용하여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을 해석하자면,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자동화된 설정, 관리 및 제어 체계"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Microservice Architecture)에서는 프로젝트에 포함된 세부 기능들이 작은 서비스 단위로 분리되어 구축된다. 이 각각의 서비스를 구현할 때 컨테이너 기술이 흔하게 이용된다.
한정된 적은 양의 컨테이너는 개별 관리자가 손수 관리할 수도 있겠지만, 대규모의 상용 프로젝트 환경에서 수많은 컨테이너를 이런 식으로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동시에 수백,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배포하고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아래의 4가지 이슈에 대한 해답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
위의 4가지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개념이 바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이다. 관현악 연주에서 각기 다른 파트를 맡은 연주자들이 하나의 연주를 위해 동시에 조화를 이루듯이, 온라인 인프라 환경에서 대규모의 컨테이너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의 복잡성을 줄여주고 이를 자동화하는 것이다. 쿠버네티스는 이러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개념을 구현한 도구들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