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er=> 스크립트를 바디의 해석이 끝난 이후에 실행되도록 한다hidden=> 탭했을 때 선택되는 박스 영역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그라데이션 색깔 조합으로 배경 만들기멀티로 배경을 지정할 때는 뒤에 배치할 배경의 코드를 밑에 위치한다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에
=> git log에 있는 id값으로 checkout한다inline=> width와 height의 값을 줄 수 없다=> 컨텐츠의 크기에 맞게 너비가 조절된다inline-block=> 줄바꿈이 생기지 않는다block=> 기본적으로 부모 요소의 너비 전체를 채운다=> 줄바
name 속성=> 저장될 때에 알아보기 위한 이름lable=> for 속성과 이름표를 붙일 태그의 id 속성과 연결시킨다input=> minlength, maxlength 속성으로 최소 또는 최대 글자 수를 정할 수 있다margin, padding에서 auto=> di
상속되는 속성=> 디자인에 관련된 것상속되지 않는 속성=> 공간에 관련된 것인라인 블록 박스=> 인라인 박스처럼 렌더링되지만 너비와 높이를 설정할 수 있음인라인 박스=> 상, 하로는 margin, padding값을 주어도 공간이 벌어지지 않는다auto=> 자식 박스가
모바일 세로모드=> portrait모드모바일 가로모드=> landscape모드action 속성에 전송할 주소를 적는다민감한 개인정보는 method에 POST방식을 사용한다=> 기본값은 GET방식기본값은 16pxem=> 상속값 \* em값rem=> 루트값 \* rem값l
테킷 프론트엔드 스쿨 6기를 참여하게 되었다.4개월동안 최선을 다해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야겠다.페이지를 만드는 것을 문서를 만든다고 생각하자일반적으로 모든 글을 p태그로 묶는다
box-sizing: border-box로 해야 패딩과 테두리를 포함하여 사이즈가 설정된다.font awesome에서 아이콘 활용
block과 다르게 inline-block은 다른 요소와 나란히 있을 수 있다.block의 margin은 상하가 상쇄된다.
css에서 선택자는 구체적일수록 우선순위가 높다.\*\*id선택자는 '+ a선택자 > b선택자 : a선택자 바로 밑의 b선택자\_ 지정a선택자 b선택자 : a선택자 하위의 b선택자a선택자 ~ b선택자 : a선택자 뒤의 모든 b선택자a선택자 + b선택자 : 바로 뒤의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