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IP, Port 개념

신은수·2023년 2월 28일
0

CS(Network)

목록 보기
1/1

1. 도메인, IP, Port 간단 개념

도메인, URL: www.naver.com (네이버)
IP주소: 105.209.222.141
Port 번호: 22, 23, 80, 443 등

'택시기사님께 OO산업단지(도메인)로 가주세요'
하면 기사님께서는 OO산업단지를 네비게이션에 찍어서
그 주소(IP주소)로 간다. OO산업단지에는 LG, Samsumg(Port) 등의 회사가 있다. 은수는 LG회사로 가기 위해 LG회사 문(Port)을 통과했다.


2. 그림으로 이해해보기

적절한 그림을 찾지못해 직접 그려봤다.
1) 클라이언트는 url창에 'www.naver.com'을 검색하면 공유기, 라우터를 거쳐 DNS라는 곳에 간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DNS서버에는 도메인과 IP주소가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이 존재한다.
2) DNS 서버는 다시 클라이언트에 'www.naver.com'에 매칭되어 있는 IP주소 '125.209.222.141'을 전달한다
3) 클라이언트는 받은 IP주소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4) 서버는 네이버의 소스코드를 클라이언트에 전달


3. Port에 대한 추가 설명

Port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적인 구조체이다. 각 프로세스는 고유한 포트 번호를 할당받아 해당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라고 구글링해왔는데 솔직히 이해가 쉽진 않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웹 브라우저는 대개 80번 포트 또는 443포트를 사용하여 HTTP와 HTTPS요청을 보내고, 웹 서버는 대개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HTTP와 HTTPS응답을 보낸다.

앞서 설명한 예시에서 https://www.naver.com 를 url창에 치는 것은 https://www.naver.com:433 을 url 창에 치는 것과 같다. 직접 쳐보면 naver 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미 이렇게 용도가 정해진 port를 well-known-port라고 한다. well-know-port 목록에 대해서는 주소에 대한 설명.
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
🙌꿈꾸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신은수입니당🙌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