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구글 소셜 로그인을 진행하게 되었다.라이브러리를 통해서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추후에는 Oauth2.0의 처리 과정을 공부하면서 라이브러리 없이 구글의 api를 통해서만 구현해보고자 한다.구글 소셜 로그인을 검색하면 가장 많이 사용
회원가입 회원정보 수정실시간 채팅 기능 (css까지 다 만들어두었으나 서버 배포 실패 -> 게시판으로 구현됨)게시판 코멘트 디테일 페이지 코멘트 관련 수정, 삭제로그인 유지리액트 쿼리로 리팩토링처음에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로 리덕스를 사용했었다. 그 당시에 현재 팀이 직
fetch를 사용해서 api 통신을 할 때응답헤더에 값을 조회하며 생겼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고 한다.login을 처음에 진행했을 때 header에 authorization 값이 조회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fetch 코드res.headers.author
회원가입 로직추가하고 싶은 기능회원가입 성공하면 -> 메인페이지로 이동되고 alert도 띄우기 || 홈으로 가기 버튼 추가input창 입력값 \*\*\*\* 처리하기
오늘의 해결과제는 동적 라우팅을 통한 데이터 받아와서 화면에 출력하기 app.js에서 연결되는 path를 보니 목데이터를 통해서 받아오던 라우팅이 그대로 존재했다. 확인 후 변경  구현하는 과정을 기록한 글입니다. 다소 부족한 점이 있으나 공부의 목적으로 작성하는 글이니 여러 배움을 주시는 피드백을 환영합니다!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
webpack, entry, output, 번들링, loader, plugin번들링 : 여러 제품이나, 코드, 프로그램을 묶어서 패키지로 제공하는 행위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번들이란?\-> 사용자에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파일 묶음
FLUX 패턴의 장점'단방향 데이터 흐름(unidirectional data flow)'단방향으로 데이터가 흐르기 때문에 고드의 흐름을 파악하기 쉽고 예측 가능하다flux 패턴과 Reducer의 개념을 도입한 Redux의 등장!Action → Dispatch → Red
1.전체 화면 시 메뉴 2.메뉴 3.GNB4.검색어 자동완성 5.모달6.숏츠 이동화면7.무한 스크롤유용성(Useful) : 사용 가능한가?유튜브는 동영상과 음악을 감상하고, 직접 만든 컨텐츠를 고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서비스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고 사용 가능한 기능들
REST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을 담당하는 API\-> api는 웹의 통신규약인 http를 이용\->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HTTP 메서드를 이용해 서버와 통신💡 REST API는 웹에서 사용되는
프로토타입 체인 : 프로토타입 객체는 상위 프로토타입 객체로부터 메소드와 속성을 상속 받을 수 있고 그 상위 프로토타입 객체도 마찬가지임. -> 다른 객체에 정의된 메소드와 속성을 한 객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간프로토타입 체인.prototype.protoObje
\*\*사람이 세계를 보고 이해하는 방법을 흉내 낸 방법론\*\*주요 개념캡슐화Encapsulation데이터(속성)와 기능(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객체 안에 넣어서 묶는 것느슨한 결환(Loose Coupling)에 유리코드 실행 순서에 따른 절차적 코드 작성이 아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