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1] 공원 산책 - 172928

SELOG·2024년 1월 5일
0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32/48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75.5 MB, 시간: 16.85 ms

구분

코딩테스트 연습 > 연습문제

채점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제출 일자

2024년 1월 5일 14:17:17

문제 설명

지나다니는 길을 'O', 장애물을 'X'로 나타낸 직사각형 격자 모양의 공원에서 로봇 강아지가 산책을 하려합니다. 산책은 로봇 강아지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진행하며, 명령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집니다.

  • ["방향 거리", "방향 거리" … ]

예를 들어 "E 5"는 로봇 강아지가 현재 위치에서 동쪽으로 5칸 이동했다는 의미입니다. 로봇 강아지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원을 벗어나는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 중 장애물을 만나는지 확인합니다.

위 두 가지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로봇 강아지는 해당 명령을 무시하고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
공원의 가로 길이가 W, 세로 길이가 H라고 할 때, 공원의 좌측 상단의 좌표는 (0, 0), 우측 하단의 좌표는 (H - 1, W - 1) 입니다.

image

공원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park,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이 담긴 문자열 배열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로봇 강아지가 모든 명령을 수행 후 놓인 위치를 [세로 방향 좌표, 가로 방향 좌표] 순으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park의 길이 ≤ 50
    • 3 ≤ park[i]의 길이 ≤ 50
      • park[i]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
        • S : 시작 지점
        • O : 이동 가능한 통로
        • X : 장애물
    • park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 1 ≤ routes의 길이 ≤ 50
    • routes의 각 원소는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냅니다.
    • 로봇 강아지는 routes의 첫 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 routes의 원소는 "op n"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op는 이동할 방향, n은 이동할 칸의 수를 의미합니다.
      •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N : 북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S : 남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W : 서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E : 동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1 ≤ n ≤ 9

입출력 예
park routes result
["SOO","OOO","OOO"] ["E 2","S 2","W 1"] [2,1]
["SOO","OXX","OOO"] ["E 2","S 2","W 1"] [0,1]
["OSO","OOO","OXO","OOO"] ["E 2","S 3","W 1"] [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입력된 명령대로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하면 [0,0] -> [0,2] -> [2,2] -> [2,1]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입력된 명령대로라면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해야하지만 남쪽으로 2칸 이동할 때 장애물이 있는 칸을 지나기 때문에 해당 명령을 제외한 명령들만 따릅니다. 결과적으로는 [0,0] -> [0,2] -> [0,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처음 입력된 명령은 공원을 나가게 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명령 또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므로 두 입력은 제외한 세 번째 명령만 따르므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1] -> [0,0]



내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park, String[] routes) {
        int row_len = park.length;
        int col_len = park[0].length();
        int row_point = 0;
        int col_point = 0;
        
        String[][] map = new String[row_len][col_len];
        for(int i = 0 ; i < row_len ; i++){
            String[] temp_arr = park[i].split("");
            for(int j = 0 ; j < col_len ; j++){
                map[i][j] = temp_arr[j];
                if(map[i][j].equals("S")){
                    row_point = i;
                    col_point = j;
                }
            }
        }
        System.out.println("start row point : " + row_point);
        System.out.println("start col point : " + col_point);
        
        loop : for(int i = 0 ; i < routes.length ; i++){
            int temp_row_point = row_point;
            int temp_col_point = col_point;
            String[] temp_route = routes[i].split(" ");
            String temp_dir = temp_route[0]; // 방향
            int temp_add = Integer.parseInt(temp_route[1]); // 거리
            
            for(int j = 0 ; j < temp_add ; j++){
                
            if(temp_dir.equals("E")){ // 동
                // temp_col_point += temp_add;
                temp_col_point ++;
            } else if(temp_dir.equals("W")){ // 서
                // temp_col_point -= temp_add;
                temp_col_point --;
            } else if(temp_dir.equals("S")){ // 남
                // temp_row_point += temp_add;
                temp_row_point ++;
            } else{ // 북
                temp_row_point --;
            }

            System.out.println(i + " temp row point : " + temp_row_point);
            System.out.println(i + " temp col point : " + temp_col_point);
            
            if(temp_col_point < 0 || temp_row_point < 0 || temp_col_point >= col_len || temp_row_point >= row_len) {
                temp_row_point = row_point;
                temp_col_point = col_point;
                continue loop;
            }
            if(map[temp_row_point][temp_col_point].equals("X")) {
                temp_row_point = row_point;
                temp_col_point = col_point;
                continue loop;
            }
            }
            
            row_point = temp_row_point;
            col_point = temp_col_point;
        }
        
        return new int[]{row_point, col_point};
    
    }
}

Point

  • 구현은 "정확한 이해"와 "디버깅"

profile
금융 IT 전문가가 될거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