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행 개념 리터럴(Literal)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약속된 기호를 통해 값을 나타내는 표기법이다 문(Statement)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이자 최소 실행단위, 컴퓨터에 내리는 명령에 해당한다 선언문, 할당문, 반복문 토큰(Token) : 문법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기본 요소를 말한다 표현식(Expression)...
👇 복습하고 넘어가기 *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의 값"* > ### 📖 원시 타입의 값 > 불변성을 가지며, 변수가 가리키는 메모리 셀 안에 실제 값이 할당되어 있다 만약, 원시 타입의 값을 변경하고 싶다면 재할당을 통해 새로운 메모리 셀 안에 재할당할 값을 넣고, 변수는 새로운 메모리 주소 안에 재할당 된 값을 가리키게 된다 💡 그럼 여기...
✅ 데이터 타입(Data Type) 📌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 값을 저장할때 확보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값을 참조할때 한 번에 읽어들일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메모리에서 읽어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기 위해서 📌 동적타이핑 자바스크립트는 변수를 선언할때 var, let, const와 같은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
✅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 📌 원시 타입의 값(Immutable Value) 메모리셀 안에 값이 위치하는 "변경이 불가능한 값" 원시값을 변수에 할당하게 되면, 변수는 "실제 값"을 가리킨다 Number, String,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 💡 불변성(Immutability)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이 불가능한 값이...
✅ 변수(Variables)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이름(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으로 "식별자(Identifier)"라고도 한다) > ### 💡 데이터와 메모리 * 데이터(Data) * : 신호, 숫자, 기호, 문자 형태의 의미단위로 가공 되지 않은 상태의 개체 정보(Inf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