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이 바뀌는 과정
- 화면에 3이 쓰여져 있다.
- 뒤에서 3이 쓰여진 변수가 2로 바뀐다.
- 바뀐 부분을 감지하고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한다.
- 이제 화면에 2가 쓰여져 있다.
2. react에서 useState로 상태 관리
- useState로 변수와 set함수를 생성
- 값을 set함수를 사용해서 바꿈
- 바뀐거 인지하고 react에서 다시 렌더링함
3. 기타
- 객체는 주소값이 있음. 객체를 다시 렌더링하기 위해서는 객체에 값을 추가하는게 아니라,
- 객체 복사 (다른 주소값)
- 새 값 추가
- set함수로 설정해야 한다.
4. 결론
useState를 사용하는 상태 변수는 이 값이 변경되면 UI에서 바로 달라져야 하는 값일 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