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rok은 NAT와 방화벽 뒤에있는 사내 로컬 서버를 안전한 터널을 통해 공개해 인터넷에 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서비스에요.
즉, ngrok서비스를 사용하면 포트 포워딩 같은 네트워크 환경 설정 변경없이 로컬에 실행중인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해요.
이제 ngrok 서비스를 활용해서 우리가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을 외부 서버에 호스팅 해볼게요.
우선 ngrok.exe 파일을 설치해야해요. --> https://ngrok.com/
위 주소로 들어가면 ngrok사이트가 나오는데 Sign up 버튼을 눌러 회원가입을 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는 창으로 넘어가게 돼요.
여기서 각자의 환경에 맞춰서 ngrok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 돼요.
윈도우 버전일 경우, Download for Windows 버튼을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진행돼요.
다운로드가 다 되었으면 압출풀기를 하고, ngrok.exe 이름으로 된 실행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켜줘요.
그러면 CMD(명령 프롬프트)와 같은 창이 뜨게 되는데, 이 창이 바로 ngrok.exe 실행파일이에요.
이 곳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웹 호스팅을 할 수 있어요.
먼저 명령어를 입력하기 전에 Authtoken을 알아야하는데, 이는 ngrok 홈페이지에서 제공해주고 있어요.
ngrok 홈페이지에 로그인 하고 들어가면 사이드바에 Your Authtoken이라는 카테고리에 있어요.
ngrok 실행파일에서 명령어를 입력해볼게요.
ngrok authtoken < ngrok token >
< ngrok token >은 아까 ngrok 홈페이지에서 얻은 Authtoken이에요.
이 명령어는 ngrok.exe 파일을 다운받고, 처음에 한번만 입력하면 돼요.
이제 실행결과를 봐야겠죠?
ngrok http 8080
위 명령어에서 8080은 포트번호를 의미해요.
사용자에 따라서 포트번호는 수정해서 사용하면 되고,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최종적으로 domain주소가 나오게 돼요.
ngrok에서 확인한 domain주소로 접속하면 최종적으로 Local host의 8080 포트로 외부 트랙을 전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