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1.12.29) - [JS] 변수와 함수

박세진·2021년 12월 29일
0

console.log

  • console.log는 괄호 안의 메시지를 콘솔창에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 콘솔창을 확인하는 방법은 웹 브라우저에서 검사 또는 F12키를 누르면 확인할 수 있다.
console.log('저는 박세진입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 브라우저에 콘솔창을 이용해도 되고, Replit이나 js bin, RunJS 등을 이용해도 된다.

variable

  • 변수 :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대상
let myNumber = 1004;
console.log(myNumber);
  • let myNumber는 선언(Declare) 한다고 한다.

  • myNumber = 1004는 할당(assign) 또는 대입이라고 한다.

  • 대체로 선언과 할당이 같이 이루어진다.

  • 변수의 이름에는 공백이 있을 수 없다. 공백이 필요하다면 다음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camelCase 표기법을 이용한다.

  •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에는 const, let이 있다. const는 상수(constant)로 값이 절대 변하지 않는다. let은 새로운 것을 생성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변수가 생기면 업데이트 하고 싶을 때 그냥 업데이트 해도 된다.

const name = 'Sejin';
name = 'Velog';
// TypeError :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const로 선언한 것은 재할당 불가함.

let name2 = 'Sejin';
name2 = 'Velog';
// let은 재할당 가능함. 업데이트 하고 싶다면 let으로 변수를 선언함.
  • 변수는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눌 수 있다.

  • 기본형은 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 참조형은 Array, Object, function

기본형

Number

  • 숫자
let myNumber1 = 0;
let myNumber2 = 1;
let myNumber3 = 500;
let myNumber4 = 1000;

console.log(myNumber4 / myNumber3);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 %는 나머지 구하는 기호임

String

  • 문자열
console.log('watermelon');

let myName = 'sejin Park';
console.log(myName);
  • string 데이터를 합치고 싶을 때는 + 기호를 사용
  • 데이터 타입 number와 string을 합치면 string이 된다.
let greeting = 'hello world';
let myName = 'code kim';

console.log(greeting+ ' ' + myName);

console.log('2' + '2'); //22
//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이기 때문에 문자열이 합쳐진 것!
console.log( 2 + 2 ); // 4
// 데이터 타입이 숫자이기 때문에 계산이 된 것!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고 싶을 때는 문자열.length를 이용한다.
const myString = 'Hello Sejin!!';
console.log(myString.length);

console.log("The length of pepsi is", 'pepsi'.length);
// The length of pepsi is 5가 출력됨. 5는 데이터 타입이 숫자임

console.log("The length of pepsi is" + 'pepsi'.length);
// String과 Number가 합쳐져서 String이 된다.

Boolean

  • 논리형
  • True(1), False(0)

undefined

  • 변수를 만들고 그 값을 정의하지 않았을 때 또는 존재하지 않는 객체 프로퍼티에 접근할 경우 반환된다.

null

  • 의도적으로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명시할 때 사용한다.

참조형

function

  • input 받기 → 기능 수행 → output 반환
function addNumbers (num1, num2) {
	let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
};

let addNumber = addNumbers(5, 3);
console.log(addNumber);
  • input 받기 → 기능 수행
function getStringLength (love) {
	console.log(love.length)
}

getStringLength ('I LOVE YOU')
  • 기능 수행 → output 반환
function sayHello3 () {
	let sentence = 'Hello '
	let name = 'Sejin Park'
	return sentence + name
};

sayHello3();
console.log(sayHello3());
  • 기능 수행
function sayHello () {
	console.log('Hello! sejin!)
} // 함수의 선언 (정의)

sayHello()
// 함수의 실행 (호출)
  • return : 함수의 output을 반환하는 결과물. 변수에 할당이 가능하다.
function sayHello2 () {
	let friend = 'Sejin Park'
	return 'Return ' + friend 
};

console.log(sayHello2());

let myFriend = sayHello2 ();
// myFriend 변수에 output을 담음

function sayHello3 () {
	let sentence = 'Hello '
	let name = 'Sejin Park'
	return sentence + name
};

sayHello3();
console.log(sayHello3());
  • console.log와 차이점은 return은 변수에 할당이 가능하지만, console.log는 단순히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변수에 할당이 불가능하다.
function myName () {
  let name = 'Park Sejin'
  return name
}

myName ()
console.log(myName()) // 할당 안됨
  • input
    • 함수 선언시에는 parameter(매개변수)
    • 함수 호출시에는 argument(인자)
function sayHello4 (input) {
	... input ...
	return output
}

function sayHello4 (name) {
	return 'Hello ' + name + '!'
} // input에서 들어가는 name -> parameter

let greeting = sayHello4('sejin')
// argument
// 함수 선언시에는 parameter
// 함수 호출시에는 argument

function addNumbers (num1, num2) {
	let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
};

let addNumber = addNumbers(5, 3);
console.log(addNumber);

console.log(result);
// not defined error 나옴.
// 함수 내부의 변수는 함수 중괄호 밖에서 접근X

profile
경험한 것을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