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을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데이터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NoSQL
이라고 한다.키(key) : 테이블의 각 레코드를 구분할 수 있는 값. 각 레코드마다 고유한 값을 가진다.
하나의 레코드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레코드와 연결된 경우
한 명의 유저가 여러 전화번호를 가질 수 있지만, 여러명의 유저가 하나의 전화번호를 가질 수는 없다.
계층적인 구조로 이해하자면, 부모 테이블의 PK를 자식 테이블에 FK로 집어 넣어 관계를 표현한다. 즉 부모 테이블(1)에서는 내 자식들이 누구인지 정보를 넣을 필요가 없고, 자식 테이블(N)에서만 각각의 자식들이 자신의 부모 정보(FK)를 넣음 으로써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여러 개의 레코드와 관계가 있는 경우(서로가 서로를 1:N 관계로 보고 있는 것)
N:N(다대다) 관계를 위해 스키마를 디자인할 때에는, Join 테이블을 만들어 관리한다.
join 테이블인 customer_package 테이블에서는 고객 한 명이 여러 개의 여행 상품을 가질 수 있고, 여행 상품 하나가 여러 개의 고객을 가질 수 있다. (조인 테이블을 생성하더라도, 조인 테이블을 위한 기본키(여기서는 cp_id)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