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개요 및 인터넷 주소체계
인터넷 주소
인터넷에서 국제표준방식에 의하여 일정한 통신규약에 따라 특정 정보시스템을 식별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 문자, 부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정보체계를 말함
도메인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한글 등)로 만든 인터넷 주소
DNS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은 IP주소를 이용하여 서로를 구별하고 통신한다.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P주소를 이용하여야 하지만, 숫자의 연속인 IP주소를 일일이 외울 수 없기 때문에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의 수직적인 체계를 말함
인터넷 개요 및 서비스의 유형
인터넷 개요
- 미국방성(DoD)산하의 ARPA에서 연구원, 군납업체, 그리고 관련기관 간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
- 세계 최대 규모의 컴퓨터 통신망
- 4개의 기관에서 군사 목적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미니컴퓨터들(IMP)을 연결하여 구성
- 1983년 1월 1일을 기해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TCP/IP를 공식적으로 채택
- 인터넷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인터넷 소사이어티(ISOC)가 있으나, 총괄, 관리하는 중앙본부는 사실상 없음
- 망과 망을 연동해 놓은 망의 집합을 의미
인터넷 서비스
- 웹 서비스
- 월드와이드웹(WWW)의 등장은 인터넷에 대한 일반의 관심과 사용이 급증하는 계기가 됨
- 웹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의 하나로, 전 세계에 펴져있는 인터넷 내의 정보들을 서로 거미줄처럼 연결
- 전자 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 규약(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 : 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로 개발되어 이용
- 웹의 등장과 더불어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면서 웹서버가 제공하는 정보의 양 또한 급증
- 웹과 정보의 재활용
-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사용자 측면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인터넷상의 어느 곳에 유용한 정보가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서버 주소, 디렉터리 이름, 파일 이름, 접속해야 할 포트 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들을 일관된 방법으로 명시하는 것
- 웹의 기능적 특성
- 웹은 인터넷의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며 이전에 사용되었던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와 서버 측면에서 제공
- 클라이언트
- 서버
- 정보의 제공자에 의한 특화 서비스 제공
- 쿠키(Cookie)
- 보안(Security)
- 액티브 X(Active X)
인터넷 주소 IPv4의 주소체계와 도메인의 기능
인터넷 주소란
- 인터넷에서 국제표준방식에 의하여 일정한 통신규약에 따라 특정 정보시스템을 식별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ㆍ문자ㆍ부호 또는 이들의조합으로 구성되는 정보체계
- 인터넷주소에는 인터넷ㅅ 프로토콜 주소(IP주소)와 도메인 이름이 있음
-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 인터넷상에서 컴퓨터 및 정보통신 설비가 인식하도록 만들어진 것
- 도메인 이름 : 인터넷상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
- 인터넷 주소 자원 : 인터넷 주소 및 이와 관련되는 정보ㆍ설비ㆍ기술 등 인터넷주소의 사용에 필요한 자원을 의미
- 인터넷 주소 관리 기관
- IANA : 전 세계 인터넷 주소 자원을 총괄ㆍ관리
- APNIC :아/태 지역 총괄ㆍ관리
- NIDA(한국인터넷진흥원) : 우리나라의 인터넷 주소 자원을 관리
- 국내에서 인터넷 도메인을 등록하려면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서 주소를 할당 받아야 함
IPv4 주소란
- IPv4주소는 전화번호와 같이 국내에서 표준을 정하고 정책을 수립하여 이용자에게 무한히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리되는 유한한 자원(약 43억개)
- 일부는 특수한 목적으로 예약되었으며, 주소 규정에 의하여 사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IP주소 할당 정책에 따라 부여하여 사용
- 주소표기법
- 32비트 체계로 xxx.xxx.xxx.xxx로 구성됨
- 이진수 8비트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10진수로 표현
- 4개의 영역마다 점으로 구분된 십진표기법 사용 ex. 192.168.1.2
IPv4주소 구성
- IPv4주소는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에서 부여한 네트워크 주소와 네트워크 상의 개별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관리자가 부여한 호스트 주소로 구성
- IPv4주소는 네트워크의 크기나 호스트의 수에 따라 A, B, C, D, E 클래스로 나누어짐 A, B, C 클래스는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네트워크 구성용, 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용, E 클래스는 향후 사용을 위하여 예약된 주소

도메인이란
- 도메인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 등)로 만든 인터넷주소
- 도메인은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역트리(Inverted tree)구조로 구성됨
- 영문자나 .(마침표)를 혼합해 주소를 표현하는 것
- 도메인 체계

- DNS
- DNS(Domain Name Server)는 할당된 도메인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로, 주로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
IPv4, IPv6 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