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리스트의 값을 삭제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del 함수의 경우 del 다음에 삭제할 값의 인덱스를 지정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animals = ['코끼리', '호랑이', '사자', '나무늘보', '기린']
del animals[1] # animals 리스트의 1번 인덱스 값('호랑이') 삭제
print(animals) # ['코끼리', '사자', '나무늘보', '기린']
del 함수는 슬라이싱을 이용해 여러 개의 값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animals = ['코끼리', '호랑이', '사자', '나무늘보', '기린']
del animals[:2] # animals의 처음(0번 인덱스 값)부터 2번 인덱스 전(1번 인덱스)까지의 값('코끼리', '호랑이') 삭제
print(animals) # ['사자', '나무늘보', '기린']
remove() 함수는 삭제하고자 하는 값을 () 안에 작성하여 일치하는 값 중 가장 첫 번째에 위치한 값을 삭제합니다.
animals = ['코끼리', '호랑이', '사자', '나무늘보', '기린', '사자']
animals.remove('사자') # animals 리스트에 존재하는 '사자' 값 중 한 개를 삭제하고자 할 때 인덱스 상으로 앞 쪽에 위치한 값을 삭제합니다.
print(animals) # ['코끼리', '호랑이', '나무늘보', '기린', '사자']
pop() 함수는 리스트에서 주어진 위치(인덱스)에 존재하는 요소를 삭제하고, 그 요소를 반환합니다.
animals = ['코끼리', '호랑이', '사자', '나무늘보', '기린']
animal = animals.pop(3) # 인덱스 3에 위치한 값('나무늘보') 삭제하고 값을 반환하기 때문에 animal에 저장
print(animals) # ['코끼리', '호랑이', '사자', '기린']
print(animal) # 나무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