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loud, aws, MyBox, Azure, Google Cloud Platform 등등 여러 종류가 있다.
클라우드에서는 서버의 컴퓨팅 능력을 활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컴퓨팅 능력은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개로 분리된 고유한 가상 서버로 나눠 각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서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가상 서버는 자체 운영 체제를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Base Hardware -> OS(Window) -> App A/B/C/D
Base Sardware -> Host OS(CentOS)(Linux) -> Hypervision(KVM, QEMU)
-> Guest OS(ContOS) -> App A/B (사용자 1)
-> Guest OS(Ubuntu) -> App A/b (사용자 2)
클라우드 응용 SW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플랫폼 PaaS(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인프라 IaaS(Insfrastrucure as a Service)
: 컴퓨터 구성 능력부터 서비스까지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서비스
On-Premise < Insfrastrucure < Platform < Software(전부 맡긴다)
-> 왼쪽일수록 사용자가 관리할 게 많다.
Public: 돈만 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ex) azure, asw
데이터 센터 자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SaaS : Application (Netflix)
PaaS: Middleware(DB, Web, App Server)
IaaS: Infra(Server, Network)
Private: 보통 자체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 회사 내 클라우드 ex) vmware, openstack
클라우드를 사용하기 원하는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전용망을 이용하여 구축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보호가 필요한 사기업(대기업, 은행), 포털들
Public Cloud 서비스 비용이 고민
통신사의 이동통신망 인프라는 이젠 클라우드 환경
Digital Transformation의 선도 기업들
Hybrid: 위의 반반. 회사 내에서 aws를 사용해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하는 느낌.
사내 클라우드는 비공개, 공유 클라우드는 공개
Multi: 2곳 이상의 클라우드 벤더가 제공ㅇ하는 2개 이상의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구성된 클라우드 접근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