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관련 설정
- SpringBoot는 jsp 대신 thymeleaf를 사용하기 때문에
html 파일에 thymeleaf 양식으로 파라미터를 받아서 사용한다.
- SpringBoot는 따로 서버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
- springboot는 기본적으로 모든 dependency를 내장하고 있고
build.gradle의 dependencies에서 모든 dependency가 on/off 형식으로 작동한다.
- src/main/resources의 templates가 views 역할을 하고 여기에 html 모아둔다.
@Controller
public class MainController {
@RequestMapping("/")
public String mainForward(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message", "스프링부트 테스트 중입니다.");
return "common/main";
}
}
<!DOCTYPE html>
<html lang="ko" xmlns="http://www.thymeleaf.org">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SpringBoot Test</title>
</head>
<body>
<h1>메인페이지입니다.</h1>
<h1 th:text="${message}">여기에 message가 출력될 겁니다.</h1>
<input type="text" th:value="${message}">
<script th:inline="javascript">
const message = "전달 받은 message";
alert(message);
</script>
</body>
</html>

- src/main/java: 자바 소스 코드를 모아두는 폴더
- src/main/resources: 자바에서 사용할 자원, 설정 파일을 모아두는 폴더
- templates: Java 템플릿을 모아두는 폴더(thymeleaf)
- static: templates에 적용될 정적 자원을 모아두는 폴더(JS, CSS, 이미지)
- application.properties: SpringBoot 프로젝트 관련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
- Project and External Dependencies: build.gradle에 명시된 라이브러리 모음
- src: jsp 사용 시 자원이 모이는 폴더(Spring MVC 프로젝트를 생각하면됨)
- build.gradle: gradle(빌드도구 == maven의 pom.xml)
프로젝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배포, 빌드 관련 설정을 작성하는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