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 연산자 ===

rada·2025년 4월 6일
0

개발

목록 보기
35/43

❗️일치 연산자 === 는 자동 형 변환을 하지 않습니다!

100 === "100"  // ❌ false (숫자 vs 문자열 → 타입 다름)

✅ 자동 형 변환을 수행하는 건 느슨한 비교 (==) 입니다.

100 == "100"   // ✅ true (문자열 → 숫자로 변환됨)

이 경우 "100"은 자동으로 숫자 100으로 변환돼서 true가 나옵니다.

🔍 요약 비교

표현비교 방식결과이유
100 == "100"느슨한 비교 (==)✅ true"100" → 숫자 100으로 변환
100 === "100"일치 비교 (===)❌ false타입 다름 (number vs string)

📌 결론

  • === (일치 연산자)는 절대 자동 형 변환하지 않음. → 타입도 같고 값도 같아야 true
  • == (느슨한 연산자)는 타입이 다르면 자동 형 변환해서 비교함

🎓 기억 꿀팁:

❗️ "==은 헷갈림, ===은 안전함"
→ 그래서 실무에서는 대부분 ===만 써요!

profile
So that my future self will not be ashamed of mysel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