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모듈 프로젝트로 전환 프로젝트 진행 중에 단일 모듈 단일 프로젝트에서 멀티모듈 프로젝트로 전환했다. 전환을 결정한 이유는 크게 두가지였다.
서비스 링크 : 코드테크깃허브 저장소: https://github.com/codestates-seb/seb40_main_011
Spring Data JPA를 처음 학습하면서 궁금했던 것은 JPA에서와 다르게 직접 commit을 해주지 않더라도 db에 메소드 결과가 반영되는 원리였습니다. 이후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통해 트랜잭션을 설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다른 교육생의 질문에 답
docker Error invoking remote method 'docker-start-container': Error: (HTTP code 500) server error - Ports are not available: exposing port TCP 0.0.0.0
단위테스트 실습 중 위와 같이 실수로 @Test와 @paramizedTest를 동시에 사용해서 테스트를 돌렸다. 다음과 같이 테스트 실패가 뜬다. 총 4개의 테스트 케이스 중 3개의 케이스는 통과하는데 1개의 케이스가 실패한다. 경고 메시지를 보면 인수로 받는 num
<span style="color: INFO: 0 containers and 1 tests were Method or class mismatchJunit5로 테스트 실행시 테스트는 정상적으로 통과하나 로그에 위와 같은 메시지가 뜰 때가 있다. 일단 파악한 바로는
커밋 메시지 컨벤션은 협업 시 일관성을 유지하고 로그 추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하는 메시지 양식을 말한다. 이것은 당연히 그룹마다 다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식들은 존재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Udacity에서 제시하는 commit message sty
목적의식 있는 연습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했는가?첫째,효과적인훈련기법이수립되어있는기술연마 둘째,개인의컴포트존을벗어난지점에서진행\-> 자신의현재능력을살짝넘 어가는작업을지속적으로시도 셋째, 명확하고구체적인목표를가지고진행넷째, 신중하고 계획적이다.온전히 집중하고 '의식적
warning: unknown enum constant When.MAYBE reason: class file for javax.annotation.meta.When not found@Nullable 어노테이션 사용시해결책 : build.gradle dependcies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