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al

채상엽·2022년 5월 10일
0

Spring

목록 보기
3/21

layout: post
title: "QNA 미션 코드 리뷰 정리 - @Transactional"
date: 2022-05-04T00:00:00-00:00
author: sangyeop
categories: Sproutt-2nd


@Transactional

새싹 스터디에서 웹 미션을 진행하던 중 서비스 레이어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불필요한 코드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다는 리뷰를 받았다. 기존에 나는 @Transactional을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올리지 않고 롤백시키는 용도로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영속성과 관련해서 더 많은 기능들이 있음을 이번에 깨우치게 되었다.

Transaction 이란?

먼저 트랜잭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상호작용의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최소 연산 단위이다.

트랜잭션 특징은 ACID라고 한다

  • 원자성(Atomic)

    트랜잭션과 관련도니 작업들이 부분적으로 실행되다가 중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돈을 이체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한쪽만 성공하고 다른 한쪽이 실패해서는 안된다. 원자성은 이 처럼 중간 단계까지 실행되고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즉 한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들은 하나의 단위로 처리해야한다. 즉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

  • 일관성(Consistencty)

    트랜잭션이 실행을 성공하면 언제나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한다.

  • 독립성(Isolation)

    트랜잭션 수행 시 다른 트랜잭션 연산 작업이 끼어들지 못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영속성(Durability)

    트랜잭션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결과가 항상 저장되어야 한다.

@Transactional

​ 다음은 어노테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프링에서는 트랜잭션 처리를 지원하는데 @Transactional 을 선언해서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선언적 트랜잭션이라고 부른다. 클래스나 메서드 위에 @Transactional이 추가되면 트랜잭션 기능이 적용된 프록시 객체가 생성된다.

이 프록시 객체는 @Transactional이 포함된 메서드가 호출될 경우, Platform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해서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정상 여부에 따라 Commit 또는 Rollback 한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 {
  ...
}

격리 수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격리 수준Dirty ReadNon-Repeatable ReadPhantom Read
Read UncommittedOOO
Read Committed-OO
Repeatable Read--O
Serializable---
  • Dirty Read

    아직 트랜잭션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데이터에 접근을 허용할 경우 생기는 데이터 불일치 문제이다.

    트랜잭션1이 수정중인 데이터를 트랜잭션2가 읽을 수 있다. 만약 트랜잭션1의 값이 정상 커밋되지 않고 롤백되면, 트랜잭션2가 롤백 전에 읽은 값은 잘못된 데이터가 된다.

  • Non-Repeatable Read

    한 트랜잭션이 같은 쿼리를 두 번 실행했을때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불일치 문제이다.

    트랜잭션1이 회원 A를 조회하던 중에 트랜잭션2가 회원 A의 정보를 수정하고 커밋하면 트랜잭션 1이 다시 회원 A를 조회했을 경우에는 수정된 데이터가 조회된다. 즉 반복해서 같은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 Phantom Read

    트랙잭션이1이 전자기기 카테고리를 조회했는데, 트랜잭션2가 컴퓨터를 추가하고 조회하면 트랜잭션1이 다시 전자기기 카테고리를 조회했을 때 상품 하나가 추가된 상태로 조회된다. 반복 조회시 결과 집합이 달라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격리 수준이 높아질 수록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상위 격리 수준을 사용할 경우 Locking으로 인해 동시에 수행되는 많은 트랜잭션들이 순차 처리되면서 DB의 성능이 떨어진다. 그렇다고 Locking의 범위를 줄이게 되면 잘못된 값이 처리될 가능성도 생기므로 적절하게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까지가 내가 스스로 찾아본 @Transactional과 트랜잭션에 대한 내용이다. 해당 내용들을 찾아보고 어느정도 개념에 대해서 감을 잡았으나, 여전히 내가 받은 코드 리뷰를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에 대해서는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다. 내가 받은 코드 리뷰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만 잘 붙이면 불필요한 코드를 많이 줄일 수 있겠네요.

Persistent Lifecycle 은 Transaction 의 시작과 끝과 바운딩 되어 있습니다.

The lifecycle of a Session is bounded by the beginning and end of a logical transaction.

즉, Persistent Context 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Transactional 을 같이 잘 사용해야 합니다.

The lifecycle of a Session is bounded by the beginning and end of a logical transaction. 이 문장이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는데, 리뷰어와 함께 공부하는 스터디원의 부가 설명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내가 설명을 이해한 바는 다음과 같다.

  • The lifecycle of a Session is bounded by the beginning and end of a logical transaction.

    위에서 설명했듯 스프링에서는 트랜잭션을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통해 처리한다. 해당 어노테이션이 메서드 레벨에 붙은 경우, 메서드가 호출 될 경우 PlatformTransactionManager 에 의해 Hibernate Session이 열리고

    이 안에서 영속성 객체가 JPA로부터 반환되어지면(Persistent Object,findById() 등으로 불러와진 객체를 영속성 객체라고 한다), JPA의 객체 상태가 Persistent 상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객체는 JPA로부터 불러와진 시점의 상태가 snapshot으로 찍히고, 이 객체의 값이 트랜잭션 내에서 변경된다면 Hibernate Session이 닫힌 이후(메서드 호출이 끝난 이후)에 JPA는 snapshot과 변경된 엔티티의 상태를 비교하고 update 쿼리를 날려서 변경을 감지하고 동기화를 할 수 있다.

@DeleteMapping("/api/questions/{question-id}/answers/{answer-id}")
public Result<Answer> remove(@PathVariable("question-id") Long questionId, @PathVariable("answer-id") Long answerId, HttpSession session) {
        if (!HttpSessionUtils.isLoginUser(session)) {
            return Result.fail("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
        User loginUser = HttpSessionUtils.getUserFromSession(session);
        Answer answer = answerRepository.findById(answerId)
                                          .orElseThrow(NoSuchElementException::new);

        if (!answer.isSameWriter(loginUser)) {
            return Result.fail("다른 사용자의 답변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
        answer.setDeletedFlag(true);
        answerRepository.save(answer);

        return Result.ok(answer);
    }

remove() 메서드는 답글을 삭제하는 컨트롤러의 메서드이다. 그런데 이 코드를 보면 반환시점 전에 제거 메서드 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 시키기 위해 save()를 호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만약 이 remove()라는 메서드가 @Transactional 로 선언되어 호출되어졌다면, 여기서 Answer 객체는 영속성 객체가 되었을 것이고, answer.setDeletedFlag(true); 로 객체의 변경된 값이 메서드 호출이 끝난 시점에 JPA에 의해 값의 변경이 자동으로 감지되고 동기화되어, 별도로 save()라는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를 해줄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이상이 내가 이해한 내용의 전부이다. 아직 여러가지 옵션이나 특징들이 많은 것 같지만, 일단으 이 정도로만 정리를 해보았다. JPA를 그저 쿼리작성을 쉽게해주고 @Transactional을 롤백시켜주는 용도로만 쓰던 나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었으며, 새로운걸 나름 잘 이해한 것 같아 재밌는 경험이었다.

참고자료

profile
프로게이머 연습생 출신 주니어 서버 개발자 채상엽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