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실무 실습 스터디 5주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번 장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대한 보안에 대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는 권한 별 역할분담 및 보안 약점 및 취약점 관리를 수행하는 오픈소스 소개 및 사용법을 다룹니다.
쿠버네티스 실무 실습 스터디 4주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번 장은 메트릭, 로그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구축에 대해 다룹니다.
쿠버네티스 실무 실습 스터디 3주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번 장은 GitOps를 통한 개발-운영 과정의 통합을 위한 시스템과 그를 위해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이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봅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CSI에 대해 살펴봅니다. Stateful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해 어떤 영속적 저장소를 어떤식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방안을 살펴봅니다. 이 글에서는 블록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VPC CNI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봅니다. 기본 네트워크 정보 및 노드 통신, 파드 생성제한 갯수의 원인과 해결방안, AWS VPC CNI Service, Ingress까지 살펴봅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kOps로 구축하고, 이를 사용한 클러스터 관리 논의를 거칩니다. DNS 컨트롤러와 트러블슈팅법 및 Helm 소개와 노드별 최대 파드 배포를 살펴봅니다.
Terraform을 통해 다양한 프로바이더에 대한 배포, 멀티 계정 활용 등에 대한 기본을 학습해봅시다.
Terraform을 프로덕션 레벨 정도로 사용하려면 어느정도는 할 수 있어야하고, 어떤걸 살펴봐야 할까요? 이 포스팅에서는 그 부분을 공부해보았습니다.
Terraform을 사용하며 인프라 프로비저닝 및 배포 시, 민감정보에 대해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
Terraform의 타입과 값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고있다는 가정 하에, 조건문을 사용하여 로직을 표현하는 방법을 담았습니다.
Terraform의 타입과 값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고있다는 가정 하에, 반복문을 사용하여 로직을 표현하는 방법을 담았습니다.
Terraform의 module 에 대한 소개와,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주의사항과 모듈 버전관리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Terraform 의 상태값에 대한 격리 방안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습니다. 아울러 속성값 참고와 내장 함수에 대한 설명을 함께 추가하였습니다.
Terraform 코드를 통해 VPC 구성과 ALB, ASG 설정을 작성하고, 데이터 소스 블록에 대해 학습합니다.
Terraform의 등장배경과, 간략한 소개, 그리고 기초적인 예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