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글은 지난 글에서 사실상 포스팅이 끝나야 되고, Github Action이나 자동화 부분에 대해 글을 써야하는데.. 그것보다 갑작스러운 문제 상황에 어제 대처하느라 변경된 환경에 대해 다시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갑자기 배포된 환경이 운용되지 않고 사이트가 죽게
오늘은 지난글에 이어서 간단하게 GCP 에 HTTPS 관련 적용한 글을 포스팅 하려고 한다.들어가기에 앞서일반적으로 도메인을 산다면, 도메인과 웹 호스팅( + SSL) 을 같이 제공해주는 서비스들을 이용하게 된다.하지만, Vercel을 이용하면 웹 호스팅을 제공해주기
심리상담센터 홈페이지를 운영하던 중 갑작스런 에러상황을 맞이하게 되었고, 해당 환경을 더이상 이용하기 힘들 것이라 판단하여, Vercel 환경에서 GCP 환경으로 이동한 구축기를 적어두려고 한다. 에러 상황 위에 그림과 같이 Pro 계정은 Serverless fun
인프런 강의 https://www.inflearn.com/course/%EC%9D%B4%ED%8E%99%ED%8B%B0%EB%B8%8C-%ED%83%80%EC%9E%85%EC%8A%A4%ED%81%AC%EB%A6%BD%ED%8A%B8-%EC%8A%A4%ED%8
지난 글과 이어서 어느정도 기능 개발을 좀 더 진행하고, 다시 webpack 번들링을 찾아보고 알게 된 부분에 대해 정리 해본다. 지난 글에 font 관련 최적화 진행했던 부분. main.js 주로 production bundle size를 줄이기 위해서 많이
요즘은 회사에서 캘린더를 담당하고 있다. 캘린더 모듈을 슈퍼앱 환경 앱스토어에 등록하고, 여러 유저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웹팩 최적화나 lighthouse 같이 이론상으로만 알고는 있었지만 적용해보지 못한 것을 해보았던 경험을 적어 본다.그간 개발
참조 : https://toss.tech/article/node-modules-and-yarn-berryToss Tech 블로그를 탐구하고 공부하던 중 yarn berry에 대한 글을 일게 되었습니다.최근, 기존 프로젝트를 마지막으로 새로운 모듈을 시작하게 되
최근 들어 프론트엔드에서도 BFF들이 요구가 되면서, 기존에 SpringBoot로 구축해서 서비스를 운영 해보았던 환경 외에 자체적으로 docker 환경과 mysql을 사용한 BFF 환경 구축에 대한 부분을 기록용으로 남겨보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기존에는 로컬D
Next.js 로 최근 SSR에 대한 부분을 홈페이지도 만들어보고 빌드도 해보면서 GatsBy에 대해 알게 되었고, 뭔가 정리해보고 싶은 부분을 정리해보아야겠다.Gatsby는 리액트 기반의 웹사이트 생성 도구이다.Gatsby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면 리액트(Rea
인프런 입문 가이드를 정리해보고 있습니다. Svelte의 특징 Write less code 높은 가독성 유지 개발 시간 단축 쉬운 리팩토링 쉬운 디버깅 더 작은 번들 (SPA 최적화) 낮은 러닝 커브 No virtual
어느덧 개발한지 6년차가 되었지만, 포스팅 관리에 대한 생각을 전혀 하지 못했고,나와는 상관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였다...하지만 이번에 나를 돌아보며 준비를 하게 되면서, 포스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지금이라도 겪게되는 트러블 슈팅이던지, 내가 느낀점 등이라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