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02 (화) [SeSAC X 라이징프로그래머] Server 수업 2주차

RyuSW·2022년 8월 2일
0
post-thumbnail

🔏 Server 심화


❓ 우리가 카페에 커피를 사러가기 위해선 어떤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할까?

  • 사람 : Client

  • 위치

    • 위도, 경도 : IP주소

    • 주소 : 도메인 주소


  • PORT : "논리적인 접속장소"를 뜻하며,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사용할 때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상의 특정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 우리가 카페에 들어가야 하는 입구 혹은 출구로 보면 된다.

      • Staff 전용 문은 다른 번호로 구성된 Port로 보면 된다.

        • EX) SSH : 22, MySQL : 3306
      • 손님 전용 문은 또 다른 번호로 구성된 Port로 생각하면 된다.

    • Port에 접근하게 되면 Daemon이 클라이언트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 Daemon :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에서 데몬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 문지기의 역할로 보면 됨

      • httpd, mysqld 의 d가 demon을 실행시켜서 원하는 서비스를 실행시킴

      • 만약에 demon이 없다면? 보안이 위험해질 수 있다.



❓ 카페에서 커피를 주문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 대면 주문, 키오스크 주문, 스마트폰 주문

    • 서버 데이터 요청 == 커피 주문

    • 패킷(packet) == 메뉴

      • Http : Header, Body
  • 위 3가지 방법들을 네트워크에서는 Protocol이라고 부른다

    • Protocol : 서버 통신 규약


🚪 Service Ports : 문


  • SSH : 22

    • 터미널 열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
  • MySQL : 3306

  • HTTP : 80

  • FTP : 21

  • HTTPS : 443

  • SFTP : 22

  • 손님용 PORT : 80, 443

  • Staff용 PORT : MySQL, FTP/SFTP, SSH - 인바운드 설정을 한다.

    • 인바운드 : 밖에서 안으로 접속할 수 없게 설정 및 제한


⚡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란?


  • HTTP + Secure 기능 추가

  • SSL : 추가 계층

    • 인증서가 아무데서나 발급되면 안되니 검증된 기관에서만 발급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함

    • 검증된 기관 : CA

  • 작동 구조 :

    1. CA에서 인증서를 발급 받음

    2. 인증서를 이용해 서버에 접속함

    3. 443 접근 허용



🔨 Port Forwarding이란?


  • 자취방을 구했다고 가정했을 때, 먼저 무엇을 할까?

    • 공유기를 설치한다 → 노트북 / 스마트폰 / 태블릿PC / TV

  • 외부 IP (공인 IP)

    • 선 하나당 외부 IP는 하나다.

    • 공유기가 외부 IP를 가지고 있음

  • 내부 IP (ex : 192.168.332.58 등)

    •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노트북, 휴대폰, 태블릿PC 등등

  • Port Forwarding(포트 포워딩)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 같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통과하는 동안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해주는 것을 의미

    • 외부에서 특정 PORT로의 연결을 알려주는 작업

    • 공유기의 설정 페이지에서 특정 내부 IP로 설정 변경한다고 생각하면 됨

    • 여러 명이 하나의 PORT로 접속할 수 있다.

profile
배운 것은 항상 그 때 문서화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