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콜백 접근 방식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콜백을 함수에 전달한 다음 완료 시 호출되어 결과를 얻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프라미스에서는 반환된 프라미스 객체에 콜백을 첨부한다.
this는 현재 실행되는 코드의 실행 컨텍스트를 가리킨다.바인딩(Binding)이란 함수 호출과 실제 함수를 연결하는 방법이다. 즉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에 함수가 위치한 메모리 번지를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호출 할 때는 암묵적으로 argumen
Atomic Design Pattern은 바로 "디자인 시스템을 위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즉 애초에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들의 집합"인 디자인 시스템에서 컴포넌트들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의미Atomic Pattern은 프론트엔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Next 프레임워크와 Reac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서 두 가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사실, React.js를 많은 스타트업 및 대기업에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사용하고 있는데 Next.js가 React랑 많이 다르면 취업하는데 있어서 다른 개발자들에 비해서
이벤트 루프는 프로그램에서 이벤트나 메시지를 기다리고 전달 하는 프로그래밍 구성 또는 디자인 패턴이다. 이벤트 루프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 공급자"(일반적으로 이벤트가 도착할 때까지 요청 을 차단 함)에 요청한 다음 관련 이벤트 핸들러 ("이벤트 전달")를 호출하여
JS V8 Engine V8은 Google Chrome과 Node.js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글에서 제작한 자바스크립트 엔진이다. C++로 작성되었고 고성능의 자바스크립트 전용의 웹 어셈블리 엔진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 한 줄을 해석하고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은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뜻한다.OOP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을 단순히 데이터와 처리방법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객체(object)라는 기본 단위로 나누고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서술하는 방식이다.객체란 하
undefined은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이고, null은 변수를 선언하고 빈 값을 할당한 상태(빈 객체)이다. 즉, undefined는 자료형이 없는 상태이다.=과 ===연산자의 차이 참고 링크https://velog.io/@ryh0629/
\-JavaScript : 브라우저, 문서 등을 다루는 즉, client에 대한 개발을 하는 도구이다.\-nodejs : backend 에서 server에 대한 개발을 하는 도구이다.nodejs는 chrom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v8을 이용한다.자바 스크립트는 스크립
먼저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variable)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변수 선언변수의 선언은 var, const, let 을 사용한다. const와 let의 경우 ES6에서 추가되었다
== 의 경우 값만을 비교하고, ===의 경우 값은 물론 타입까지 비교한다.위의 예시를 보면 ==과 ===의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다.a라는 변수에는 number타입의 3이 할당되어있고, b라는 변수에는 string 타입의 3이 할당되어있다. 따라서 값만 비교하는 =
불변, 변할 수 없다는 뜻원시타입해당 데이터 주소와 별개의 새로운 주소에 값이 할당immutable 객체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String, Boolean, Integer, Float, Long 등이 있다.(객체이므로 String을 제외하면 primitive의 래퍼타입
Virtual DOM 란?Virtual DOM 은 UI의 이상적인 또는 가상적인 표현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제 DOM과 동기화하는 프로그래밍 개념이다. 이 과정을 재조정이라고 한다.이 접근방식이 React의 선언적 API를 가능
HTML , CSS , JavaScript 등 개발자가 작성한 문서를 브라우저에서 출력하는 과정을 말한다.HTML , CSS 를 다운로드.다운받은 HTML , CSS => Object Model로 만든다.HTML => DOM , CSS => CSSOM3.Layout레이
우리는 보통 호이스팅(Hoisting)은 보통 코드를 실행하기 전 함수의 선언과 변수의 선언을 파일의 맨 위로 끌어 올린다고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JS 엔진은 스크립트를 가져 오면 가장 먼저 코드에서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를 설정한다. 이 시점에는 코드가 실행되지
CI는 간단히 요약하자면 빌드/테스트 자동화 과정 과정이다. CI는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을 의미한다. 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
도커(Docker)는 리눅스 컨테이너(Linux Container)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서비스이다.도커(Docker)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도커(Docker)를 통해 OS를 \*공유, 격리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Docker
렌더링에는 CSR, SSR, SSG 세가지 렌더링 기법이 존재한다. CSR(Client-Side-Rendering) CSR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렌더링을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HTML, JS, CSS 파일 등을 모두 다
Domain Domain의 경우 www.naver.com 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말한다. IP 주소의 얼굴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도메인의 경우 가비아와 같은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도메인 이름을 선택하고 이를 IP 주소에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메인을 구매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비동기 코드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callback, promise, async-await 등이 있다. promise all 사용 예시 const onClickPromise = async () => { const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