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맥에서 `Git 리포지토리에 활성 변경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해결법

heexohee ·2023년 6월 2일
0

🔍 ISSUE - Visual Studio에서 'Git 리포지토리에 활성 변경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해결 방법(git 오류 날 때)

  • git을 잘못 설치해서 git이 git를 추적하게 된 경우 -> 가장 빈번한 케이스

😅 Git 실수!

  • 깃 저장소가 있을 때 한 디렉토리 안에서 초기화해야 함. 깃은 이 렉토리 안에 벌어지는 모든 것을 주시, 안에 있는 하위 디렉토리 까지 모두 지켜봄.
  • 그 폴더 안에 포함된 모든 것, 상위 레벨에서 제어하는 하향식(TOP-DOWN 방식)
  • 깃은 폴더 안에 벌어지는 모든 것을 추적하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것. (깃이 깃이 추적하는 형태가 되면 혼란스럽게 됨.)
  • git init 명령어 실행할 때, 이미 깃이 있는 저장소 안에 있지 않도록 해야함!
  • 보통 어떤 프로젝트를 위해 폴더를 만들면, 그 폴더 안에서 깃을 초기화 하는 것이 원칙(권장)→ 대부분은 사람들은 한 프로젝트 당 한개의 저장소를 원하고 항상 git status를 실행함.
  • 초기화하기전에 git status로 확인하기! (.git으로 제거해서 정리 가능)

🔨 해결 방법

  • Command + Spacebar를 입력하고 Terminal 프로그램을 열어줌.
  • 그리고 아래 코드를 복사해 넣으면 .git 폴더가 정리됨.
  • 터미널에서 부모 디렉토리로 cd ../로 진입해서 디렉토리에 잘못 설치된 .git 삭제
  • TERMINAL에 아래 코드 블록 입력
rm -rf .git

💡 인사이트

  • 깃은 잘 사용하면 너무 편한데 개념이 숙지되지않은 상태에서 무턱대고 git init하다가 conflit 난 것 같다. 며칠 고생했으나 터미널(CLI)에 익숙해지고 git사용하다 발생하는 실수를 미리 겪어본 것 같아서 값진 경험...🫠 git init 전에 무조건 git status!
profile
미대출신 기획자입니다. 사용자가 진짜 필요한 솔루션을 찾아내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