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오답 해설

sookyoung.k·2024년 11월 2일
0
post-thumbnail

19년도 문제 푼것들 중 오답과 자주 틀리는 문제 중 진짜 꼭 외워야 하는 것들만 모아봄

2019년 02월 17일 기출

1과목: TCP/IP

  1. TCP/IP 4 Layer

1계층 - 네트워크 계층(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LAN,패킷망
2계층 - 인터넷 계층(네트워크 계승): IP, ARP, RARP
3계층 - 전송계층(전송계층): TCP, UDP
4계층 - 응용계층(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FTP, HTTP, SSH

  1. 이 나오면 무조건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2. CSMA/CA - NIC에서서 사용하고 있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

  3. IP 데이터그램 헤더구조의 Field Name으로 옳지 않은 것은 Port Number 이거 외우자!!

  • 헤더구조에 해당하는 필드네임
    👉🏻 Destination IP Address, Source IP Address, TTL(Time to Live)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 PCM 변조 방식의 변조 과정 순서 이것도 매번 나오니 외우자
    👉🏻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정확히는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인데 표압양부복으로 외우자

  1. 전송계층 관한 문제 중에서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꾼다고하면 무조건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외우자

물리계층 - 물리적 매체를 통한 전송
네트워크계층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송
전송계층 - 시스템 종단간 오류 "수정", 흐름제어
데이터링크 계층 - 오류 "제어", 프레임 동기 링크효율 상승을 기반으로 오류 없이 데이터를 전송

  1. VPN - 고비용의 사설망을 대체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 공중망 상에서 구축되는 논리적인 전용망
  • 고비용의 사설망 = Private
  • 가상의 터널 = Virtual
  1.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 반송파 감지 다중 엑세스/충돌 검출
  • 패킷이 충돌하게 되면 노드는 충돌 신호를 전송한 후 설정된 시간만큼 기다린 후 바로 다시 전송
  1. 기가비트 이더넷 👉🏻 IEEE 802.3 LAN을 이더넷 표준으로 발표

  2. 세션 계층의 역할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무조건 에러 제어

  • 역할로 옳은 것: 대화제어, 연결 설정 종료, 동기화

에러 제어하는 것은 데이터링크 계층이다!

3과목: NOS

  1. DNS 레코드 이것도 자주 나오니까 그냥 외우자!!!!!!!
  • A - ip 주소 알려준다,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 CNAME - 도메인 별칭
  • MX - 메일, 라우팅
  • NS - 서버 이름
  • SOA - DNS 영역에 대한 핵심 정보 저장
  • PTR - 역방향도메인
  1. netstat 명령어로 알수 없는 정보는 무조건 접속자 MAC 주소

  2. 아니 이거 틀리면 사람 아닌데 ;;;

R = 4, W = 2, X = 1
👉🏻 모든 사용자가 모든 권한 = 777

  1. DHCP의 장점이 아닌 것은 무조건 영구적인 IP Address를 필요로 하는 웹 서버에 대해서는 동적인 주소를 제공한다 이거임
    👉🏻 동적이 아닌 정적 주소를 제공한다

  2. /bin: Linux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실행 파일과 기본 명령어가 포함되어있는 디렉터리

  3. Linux에서 ls -al 명령어 결과 [파일타입] 부분에 -표시는 일반파일이라는 의미다

  4. Active Directory에서 트러스트 내의 도메인들에 포함된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 글로벌 카탈로그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1. Repeater 설명 중 옳지 않은 거 고르라고 할 때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준다는 이야기가 있으면 무조건 정답임

  2. Virtual LAN = 한 대의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나누어 여러 대의 스위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함 (망 분리를 생각하자!)

19년 05월 19일

1과목: TCP/IP

  1. ICMPv6에서 IPv4의 ARP 역할 및 특정 호스트로의 전달 가능 여부 검사 기능을 하는 메시지 = 이웃 요청과 광고 메시지

  2. IPv4와 비교했을 때 IPv6의 주소 체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조건 64비트 주소체계임

👉🏻 ipv4는 32비트, ipv6은 128비트이다

  1. UDP 세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1. c클래스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 = 255.255.255.224

이건 걍... 운에 맡기자 ㅠ 3번이 많이 나오는듯 하다...

  1. 사설 IP 주소로 옳지 않은 것은 128.52.10.6

128이면 아님

  1. 네모 박스에 ping www.icqa.or.kr 명령어랑 결과 주고 옳지 않은 것 고르라고 하면 무조건 4번 패킷의 살아있는 시간(TTL)은 55초이다 이걸 고르셈

남은시간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함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 OSI 7 Layer에서 Data Link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조건 Text압축, 암호기능

👉🏻 압축, 암호화 기능은 표현 계층이다.

  1. IEEE 802 프로토콜

IEEE 802.3 - CSMA/CD, Ethernet
IEEE 802.4 - 토큰버스
IEEE 802.5 - 토큰 링
IEEE 802.11 - CSMA/CD

버스에 타면 죽을 수도 있다 = 死 이렇게 외우자... 올바른 것...

  1. 데이터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 PDU에 대한 ACK를 특정 시간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는 기능은 Error Control

  2. 디지털 컨버전스 = 하나의 기기와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을 묶은 새로운 융합 상품

유비쿼터스 = 언제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것

3과목: NOS

  1. /var: 메일, 로그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2. DHCP 서버의 주요 역할은 IP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IP 자동할당

  3. 서버에서 인식하는 순서 htm 👉🏻 html 👉🏻 php

  4. [관리도구] -> [이벤트 뷰어] -> [Windows 로그]의 세부항목이 아닌 것은 바로 경고이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1. NIC 설명 중 옳은 것은 유일한 MAC주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

19년 8월 25일 기출

1과목: TCP/IP

  1. UDP 헤더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확인 응답 번호!!!

UDP는 단방향이라 확인 응답 필요 없음

  1. RARP는 IP주소를 모르고 MAC 주소를 알 때 사용한다

  2. TCP, UDP를 모두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DNS이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 OSI 7계층 중 응용계층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을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프레젠테이션 계층이다!!

  2. 한 번 설정된경로는 전용 경로로써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유지해야 하는 전송방식은 Circuit Switching

3과목: NOS

  1. Active Directory 서비스 중에서 데이터 저장, 도메인간 통신 관리: AD 도메인서비스

  2. 이벤트 뷰어에서 '구독'을 통해 로컬 시스템의 이벤트는 볼 수 있는데 이메일 보고서까지 받을 수는 없음

  3. DNS 서버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 설정에서 SOA 레코드의 필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이메일 형식임 왜냐면 @안쓰고 .을 사용하는 형식임

  4. 리눅스 데몬 중 kerneld: 필요한 커널 모듈 동적 적재

crond - 명령어 정기적 수행
httpd - 아파치 데몬
named - dns서버 사용 시 서버 작동 유무 제어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1. 루핑에 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 필터링 기능

  2. 100Mbps 이상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 광섬유 케이블

19년 11월 10일 기출

1과목: TCP/IP

  1. 응용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ICMP

  2. RARP는 하드웨어 주소를 IP Address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

  3.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30개

  4. 모르겠으면 D클래스로 찍자.

  5. IP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실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

  6. tracert: 네트워크의 목적지 노드까지 연결 경로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각 경우지의 응답 속도도 확인 가능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 에러 제어 기법 중 자동 재전송 기법으로 옳지 않은거 고르라고 하면 무조건 전진에러수정(FEC)

  2.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QoS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가를 판단

  3. 성형(Star) 토폴로지에서 옳지 않은 것은 하나의 단말장치가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
    👉🏻 중앙만 멀쩡하면 된다

3과목: NOS

  1. netstat 명령으로 표시되지 않는 IPv4 통계 정보는 무조건 NNTP

  2. 서버상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조건 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한 통신만 볼 수 있고 비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해서는 볼수 없다

  3. [시작] -> [관리도구] -> [로컬 보안 정책]에 나오는 보안 설정 항목이 아닌 것은 대칭키 정책

  4. /etc/named.conf -> none은 아무도 못하게 하는 설정임

  5. DHCP 구성 중 올바른 것은 서버에서 주소를 분배할 때 적용할 지연시간은 ms 단위로 지정한다는 것

  6. 리눅스에서 명령어 해석기는 SHELL!!!

  7. IIS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 짝은 HTTP, FTP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1. RAID 설명 중 옳은 것은 RAID-0 방식에 대한 설명
profile
영차영차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