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로 옳지 않은 것은 UTC
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TFTP
👉🏻 TFTP는 UDP 포트를 사용한다
👉🏻 TCP 사용 프로토콜로는 FTP, Telnet, SMTP가 있다
IP의 체크섬은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
DHCP는 다수의 PC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환경인 교육장용 PC에 IP 할당하기에 적합
**/etc/hosts
: Group ware 주소를 사용할 때 수정하여 사용하는 파일
/etc/deny
: 접근 차단
/etc/allow
: 접근 허용
**netstat
: 열려있는 port 정보 확인
트러스트: 도메인 또는 포리스트 사이에 신뢰할지 여부에 대한 관계
/proc
: 프로세스의 상태정보, 하드웨어 정보, 시스템 정보 등을 확인**
/boot: 시스템 부팅에 필요한 것들 저장
/etc: 시스템 설정 파일들
/lib: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
/etc/named.conf
의 옵션 지시자 - 유효성 검사 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지 않음 ㅠ
sudo
명령어를 붙어야 관리자 권한을 얻을 수 있다!
>
- overwrite (cf. >>
- append)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23 -j DROP
* Telnet: 23, TCP: 21
runlevel5
: 리눅스 로그인 시 다중사용자 모드 및 GUI 모드 지원
RAID 0: 스트라이프, 최소2개 디스크, 빠르다
RAID1: 미러링
POE Switch: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UTP 케이블을 통해 전달
UDP 패킷 헤더에 속하지 않는 것은 Window!!
👉🏻 속하는 것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Length, Checksum
사설 IP 주소로 옳지 않은 것은 128.52.10.6
SSH 보안 프로토콜은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가능하다!
ping 210.223.112.9
명령어를 입력하면?!
👉🏻 ARP Cache 확인 -> ARP Broadcast -> 자체 IP와 일치 여부 확인 -> ARP Reply 발송
데이터 링크 계층
가상회선교환 방식: 데이터 전송 전에 목적지까지의 경로르 설정한 후 데이털르 정해진 단위별로 전송하되, 규정된 시간 내에 전송 데이터가 없으면 현재 설정된 경로를 해제하는 교환 방식
/etc
: 환경설정, 사용자 정보 등을 가짐
👉🏻 설정 얘기 나오면 무조건 etc
WAP: 내부 웹 리소스를 인터넷에 게시하는 데 사용
구동중인 프로세스 검색 문제 -> 네 번째 프로세스의 PPID는 1869이다가 옳지 않음
Hyper-V는 가상 하드디스크를 실행하는 상황에서도 다른 저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dev/sda5
: 다섯 번째 연결된 물리 디스크가 아니라!!! 첫 번째 디스크(/dev/sda
)의 다섯 번째 파티션을 의미한다!!!
하루 종일... 이거보다도 더 많은 문제를 풀긴 했다 와... ㄹㅈㄷ
진짜 개많이 풀었다...
평균적으로는 합격권이긴 한데 애초에 지식 자체가 탄탄한 게 아니다보니 약간 불안한 마음이 들긴 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벨로그에 오답 정리해둔거만 달달 외워야겠다 아주 그냥! 제발! 한 번에 붙자! 돈아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