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오답 정리

sookyoung.k·2024년 12월 9일
0
post-thumbnail

2020년 10월 10일 기출 오답 정리

와~^^ 49점으로 올랐다~~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 chown 명령어

    • 소유권 변경 시 참조하는 파일(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사용자 목록 저장): /etc/passwd
    • 패스워드 부분 암호화 관리: /etc/shadow
    • 새로운 사용자 추가 시 참조하는 설정 파일: /etc/default/useradd
  • chgrp 명령어 (소유그룹 변경 명령어)

    • -h: 옵션 없이 심볼릭 링크 파일을 바꿀 시 원본 파일 변경
    • -f: 권한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보여주는 오류메시지를 보이지 않게 함
  • 각 사용자 디스크 사용량 제한을 위해 디스크 쿼터 설정 명령어 순서

    1. quotacheck: 마운트 옵션에 quota 관련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찾아서 쿼타 설정을 위해 필요한 쿼타 파일 생성
    2. edquota: 사용자 및 그룹별 디스크 사용량 제한을 설정하거나 이미 설정되어 있는 쿼타를 편집
    3. quotaon: 쿼타 가동
    4. repquota: 특정 파일 시스템 내의 각 사용자별 디스크 사용량에 대한 내용 확인

    👉 체크하고(check)! 편집하고(edit)! 기동하고(on)! 확인하기(representative)!

  • Set-UID와 Set-GID는 보안에 약하다!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유형: ext, vfat, ntfs

    • smb: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lost+found: fsck 명령 수행 시 손상된 디렉터리나 파일 수정을 위한 임시 디렉터리

  • dash: POSIX와 호환되는 /bin/sh를 가능한 작게 구한 셸 (history 명령어 등은 지원x)

  • /etc/passwd: 특정 사용자의 로그인 시에 부여되는 셸 정보 확인

    • /etc/shells: 쉘이 어떤 것이 있는지 정보
    • /etc/shadow: 비밀번호
    • /etc/login.defs: 사용자 계정의 설정과 관련된 기본 값을 정의한 파일
  • !!: 바로 직전에 내린 명령 재실행

    • !1: history 명령어 실행 시 1에 있는 명령어 실행
  • /etc/profile: 시스템 전체(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 관련 프로그램을 설정

    • /etc/bashrc: 전체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별명과 함수들 정의
    • ~/.bash_profile: 각 사용자를 위한 환경을 설정하고 시작 프로그램을 정함
  • 시그널명, 번호값

    • SIGINT: 2
    • SIGQUIT: 3
    • SIGTSTP: 20
    • SIGCONT: 19
  • inetd: 필요할 때마다 관련 프로세스 실행
    standalone: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항상 상주

  • */30 * * * * /etc/backup.sh: 백업 스크립트가 30분 주기로 실행되도록 crontab에 설정 (*/x = 매x마다)

  • fork: 기존 프로세스 복제
    exec: 호출하는 프로세스가 새로운 프로세스로 변경 (덮어 씌워버림)

  • fg %2: 백그라운드 실행 중인 작업번호가 2인 프로세스를 포어그라운드로 전환

  • gedit: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전환한 초보자로서 터미널 환경에는 익숙하지 않고, X윈도는 사용 가능

  • pico 편집기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처음으로 커서 이동 -> [Ctrl] + [a]

    • +a: 현재 행의 맨 앞으로 이동
    • +e: 현재 행의 맨 끝으로 이동
    • +i: 화면 갱신
    • +o: 파일 저장
  • emacs 개발한 사람: 리처드 스톨만

    • vi 편집기: 빌 조이
    • 리눅스 창시자: 리누스 토발즈
    • Pico 개발자: 아보일 카사르
    • emacs 기능 추가 개발: 제임스 고슬링
  • 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터리를 /usr/local/httpd2로 지정해서 운영하기 위해서는? 👉 소스 파일 다운로드하여 디렉터리 지정 후 설치

  • 기존 tar 파일에 txt 파일 추가 = rvf 옵션

    • r옵션: tar 아카이브 마지막에 파일 추가
    • v옵션: 처리되는 과정 자세히 나열
    • f옵션: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 (기본 옵션)
  • rpm 옵션

    • qa 패키지명: 설치 확인
    • qf 파일경로(절대경로):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된 것인지 확인
    • ql 패키지명: 특정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을 확인
    • qi 패키지명: 설치된 패키지의 상세정보 보기
  • 압축률이 가장 낮은 것: compress (압축 파일명 .Z)
    압축률이 가장 높은 것: xz (.xz)

  • apt-get 명령어를 통해 패키지 업데이트 시 참조하는 파일: /etc/apt/sources.list

  • lpr -r lin.txt: lin.txt라는 문서 파일을 출력한 후에 삭제

    • lpr -r 파일명: 출력한 뒤 지정 파일 삭제
    • lp -d 프린터명: 기본 설정 프린트 이외에 다른 프린터로 지정
  • system-config-printer: CentOS 6 버전에서 사용하는 X 윈도 기반의 프린터 설정 명령

  • SANE: 스캐너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해야 할 패키지

  • alsactl: 사운드카드 장치 초기화, 사운드 관련 환경설정 파일 관리 등의 역할

2과목: 리눅스 활용

  • 환경변수 DISPLAY 👉 export DISPLAY=목적지 IP주소:디스플레이번호.스크린번호

  • ESTABLISHED: TCP의 3 Way-Handshaking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 mii-tool: 리눅스의 네트워크 설정 확인 및 설정

    • ss: 리눅스의 socket 상태 조회
    • route: 라우팅 테이블 추가/제거
    • ip: ip주소 정보나 ip 설정 등
  • ftp 👉 데이터 전송 시 사용하는 포트 번호: 20

    • 21번포트: 신호/명령 제어
    • SSH 22번 포트
    • Telnet 23번 포트
  • NFS: 한 대의 리눅스 시스템에 파일 공유

    • SAMBA: 리눅스와 윈도우 파일 공유
  • MAC: 48bit

    • IPv4: 32bit
    • IPv6: 128bit
  • /etc/services: 각 서비스 별로 포트 번호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파일

    • /etc/protocols: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목록
    • /etc/sysconfig/network: 게이트웨이 주소 설정 파일
    • /etc/resolv.conf: DNS 서버 주소 설정 파일
    • /etc/hosts: 온라인 상에 등록된 네임 서버의 주소 정보를 가장 먼저 인식하는 파일
  • telnet 호스트이름 포트번호 👉 텔넷 명령을 사용해서 로컬 시스템의 웹 서비스 점검

  • LAN 구성 방식

    • STAR형: 가운데에 몰려있음
    • BUS형: 길다란 선 하나에 몰려있음
    • RING형: 원, 토큰 패싱
    • MESH(망)형: 서로서로 전부 연결되어 있음
  • SAMBA 👉 CIFS

  • /etc/sysconfig/network: 해당 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여부와 hostname을 저장하고 잇는 파일 👉 네트워크와의 연결 차단을 위해 확인해야 하는 파일

  • VirtualBox 👉 인텔의 하드웨어 가상화 VT-x와 AMD의 AMD-V를 기반으로 전가상화 지원

  •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클러스터 👉 고가용성(HA), 고계산용(HPC), 부하분산(LVS)

profile
영차영차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