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오답 정리

sookyoung.k·2024년 12월 9일
0
post-thumbnail

2021년 3월 13일 기출문제

56점~ 올라간다~ 상승~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 CentOS 7에서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 명령어: xfs_quota
    👉 xfs가 CentOS 관련
    - quota: 사용자 디스크 사용량과 제한 출력해주는 명령어
    - setquota: 사용자의 디스크 용량 할당 명령어

  • CentOS7에서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 점검 명령

    • fsck: 파일 시스템 점검하고 복구하는 명령어
    • e2fsck: ext2 / 3 파일 시스템 점검 명령어
    • xfs_repair: xfs 파일 시스템의 점검 및 복구 명령어
  • chmod a+x,g-w lin.sh 👉 사용자에게 실행 권한 추가, 그룹에게 쓰기 권한 제거

    • 👉 사용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 &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및 실행 권한만 설정 chmod 755 lin.sh
  • df: 전체 디스크 사용량을 알 수 있는 명령어
    du: 특정 디렉토리를 기준으로하여 디스크 사용량을 알 수 있는 명령어
    👉 문제: ihd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해야겠다 = 특정 디렉토리 사용량을 확인하고 싶은 것이기 때문에 du가 정답

  • 다른 그룹에 속한 kait 사용자의 접근을 막겠다 👉 다른 그룹에 속한 kait 사용자는 other이므로 other의 실행 권한인 x를 제거

  • 리눅스 명령행에서 변수 선언 👉 '변수명 = 값' & 출력 시에는 '$변수명'

    • 문제: bash에서 os라는 셸 변수에 linux 값 선언 👉 os=linux
  • chsh 옵션

    • -l (list): 변경 가능한 셸 출력
    • -s (shell): 로그인 셸을 사용자가 입력한 셸로 변경
    • -u (help): chsh 명령어에 관련한 도움말 출력
  • Cent0S 7 리눅스에서 최초 프로세스 명 = systemd (init 👉 systemd)

  • kill 2101 👉 SIGTERM

    • kill 명령어에서 옵션 생략 시 기본값이 SIGTERM(15)가 된다
    • 1: SIGHUP
    • 2: SIGINT
    • 9: SIGKILL
  • nohup: 사용자가 로그아웃하거나 작업 중인 터미널 창이 닫혀도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프로세스로 작업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 사용자가 명령행 뒤에는 &를 써야 한다

    • nice: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
    • renice: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
    • bg: foreground 프로세스를 background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명령어
  • renice: 프로세스 ID(PID)로 우선순위를 변경(번호)
    nice: 프로세스명으로 우선순위 변경

  •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때 👉 Ctrl + z로 먼저 실행 중인 작업을 일시 중지

  • exec: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호출 방법 (프로세스 증가 x)
    fork: 시스템 호출 함수로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들 때 기본 프로세스 복제
    - nice: 프로세스 사이의 우선순위 변경(프로세스명)
    - renice: 이미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번호)

  • vi 편집기 명령 모드

    • e: 커서가 위치한 단어의 맨 끝부분으로 이동
    • x: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 삭제
    • dd: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라인 삭제
  • vi 편집기 환경설정값

    • set ai: 자동 들여쓰기
  • 압축효율
    👉 xz > bzip2 > gzip > compress

  • tar 옵션

    • r: append, 파일 내의 기록에 다른 파일 내용 추가 묶음
    • c: create, 새 파일을 만듦
    • x: extract, 기록에서 파일 해제
    • t: list, 압축된 파일 안에 있는 구성 파일 출력
    • 👉 backup.tar 파일에 추가로 파일을 묶기 위한 명령어는?
      tar rvf backup.tar lin.txt joon.c
  • yum search telnet: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를 찾는 명령

    • remove: 지정 패키지 제거
    • groupinstall: 지정한 패키지 그룹 설치
    • install: 의존성을 고려하며 패키지 설치
    • list: 전체 패키지에 대한 정보 출력
    • list update: 업데이트 시 필요한 패키지 정보
    • info: 패키지 정보 출력
    • check-update: 업데이트가 가능한 패키지 목록 확인
  • RAID0 = Striping 👉 데이터 분산저장
    RAID1 이상 = Mirroring 👉 데이터 복사 저장

  • 프린팅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 👉 lp, cancel, lpadmin
    * alsactl = alsa control, 사운드 카드 관리 명령어
    - lp: 프린터 작업 요청 명령어
    - cancel: 프린터 작업 취소 명령어
    - lpadmin: 프린터 설정

  • OSS: Open Sound System,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는 인터페이스
    ALSA: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고급 리눅스 사운드 아키텍처
    SANE: Scanner Access Now Easy, 이미지 스캐너 및 카메라 하드웨어에 표준화된 액세스를 제공하는 API
    CUPS: Common Unix Printing System, 컴퓨터를 인쇄 서버로 기능하도록 해주는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를 위한 모듈 방식의 프린팅 시스템

  • 프린팅 시스템 👉 CUPS, LPRng, LPD
    * SANE = 이미지 관련 하드웨어 제어 API

  • 프린터 요청 명령어

    • lpr: 작업 요청
    • lpq: 프린터 큐 확인(대기 내용)
    • lpc: 프린트 컨트롤 프로그램
    • lpstat: 프린터 상태 확인

2과목: 리눅스 활용

  •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시스템 시작 시 x 윈도 모드로 부팅이 되도록 설정하는 명령어

  • 윈도 매니저 종류 👉 Mutter, Kwin, Windowmaker
    * Xfce: 유닉스 계열을 위해 개발된 데스크톱 환경

  • LibreOffice 종류

    • Writer: 문서 작성기
    • Impress: 프레젠테이션
    • Calc: 스프레드시트
    • Draw: 드로잉 프로그램
  • Eog = Eye of Gnome, 그래픽 뷰어

    • ImageMagicK, GIMP -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
    • Totem: 음악/동영상 플레이어
  • ssh로 변경된 포트 서버 접속
    👉 ssh IP주소 -p 포트

  • OSI 모델 기준으로 가장 많은 계층을 지원하는 장치 = Router
    👉 OSI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의 기능 지원

  • telnet 명령어를 사용해 IP 주소가 192.168.12.22번인 HTTPS 서버의 포트 점검 방법 = telnet 192.168.12.22 443

  • 실시간 채팅 프로토콜 = IRC

    • NFS: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상대방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자기 자신의 디렉터리인 것처럼 사용
    • SAMBA: 리눅스, 유닉스 계열의 OS와 윈도의 OS간 자료 공유 및 하드웨어를 공유
    • Usenet: 텍스트 형태의 기사들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게시판
  • Ansible -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구성 관리, 배포 프로그램으로 유닉스 및 리눅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공개 프로그램 (2015 레드햇이 인수)

    • OpenStack: IaaS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 소스 프로젝트
    • Docker: 하이버 바이저나 게스트 OS 없이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격리해서 설치 및 사용 가능
    • Kubernetes: 구글에서 개발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
  • CPU 반가상화 지원하는 서버 가상화 기술 = XEN

    • 전가상화, Linux 자체를 호스트 OS로 이용 = KVM
    • 전가상화, 반가상화 모두 지원 = XEN
    • 이노테크(InnoTek)가 개발, 현재는 오라클이 개발 중인 사용,사유 소프트웨어, vdi가 기본 확장자 = VirtualBox
  •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클러스터 =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데 주로 과학계산용으로 활용되고, 흔히 부르는 슈퍼컴퓨터의 제작 방식

profile
영차영차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