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리스트 자르기

sookyoung.k·2024년 6월 4일
0
post-thumbnail

정수 n과 정수 3개가 담긴 리스트 slicer 그리고 정수 여러 개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집니다. slicer에 담긴 정수를 차례대로 a, b, c라고 할 때, n에 따라 다음과 같이 num_list를 슬라이싱 하려고 합니다.

  • n = 1 : num_list의 0번 인덱스부터 b번 인덱스까지
  • n = 2 : num_list의 a번 인덱스부터 마지막 인덱스까지
  • n = 3 : num_list의 a번 인덱스부터 b번 인덱스까지
  • n = 4 : num_list의 a번 인덱스부터 b번 인덱스까지 c 간격으로

올바르게 슬라이싱한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 은 1, 2, 3, 4 중 하나입니다.
  • slicer의 길이 = 3
  • slicer에 담긴 정수를 차례대로 a, b, c라고 할 때
    - 0 ≤ a ≤ b ≤ num_list의 길이 - 1
    - 1 ≤ c ≤ 3
    - 5 ≤ num_list의 길이 ≤ 30
  • 0 ≤ num_list의 원소 ≤ 100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n, slicer, num_list) {
    let [a, b, c] = slicer; 
    
    switch (n) {
        case 1: 
            return num_list.slice(0, b+1);
            break;
        case 2: 
            return num_list.slice(a);
            break;
        case 3:
            return num_list.slice(a, b + 1);
            break;
        case 4: 
            return num_list.slice(a, b + 1).filter((_, i) => i % c === 0);
            break;
    }
}
  • slicer라는 배열의 요소 3개를 각각 a, b, c 변수로 할당
  • switch문을 사용하여 n의 값에 따라 문제에 맞게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 slice() 메서드를 사용하여 필요한 부분 배열을 추출하여 반환한다.
  • case 4에서는 추출한 부분 배열에서 인덱스가 c의 배수인 요소만 남기도록 filter() 메서드를 사용한다.

다른 풀이 1

function solution(n, slicer, num_list) {
    let [a, b, c] = [...slicer];

    switch(n) {
        case 1:
            return num_list.slice(0, b + 1);
        case 2:
            return num_list.slice(a);
        case 3:
            return num_list.slice(a, b + 1);
        case 4:
            return num_list.slice(a, b + 1).filter((_, idx) => !(idx % c));
    }
}
  • 구조분해 할당을 사용하여 slicer 배열의 요소를 각 a, b, c에 할당했다. 내가 한 건 직접 할당하는 방식임.
  • case4 filter() 부분이 목적은 같으나 연산이 다르다!
    • !(idx % c) 인덱스가 c의 배수가 아닌 경우 true를 반환하여 해당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풀이 2

const slices = {
  1: (num_list, [a, b, c]) => num_list.slice(0, b + 1),
  2: (num_list, [a, b, c]) => num_list.slice(a),
  3: (num_list, [a, b, c]) => num_list.slice(a, b + 1),
  4: (num_list, [a, b, c]) => num_list.slice(a, b + 1).filter((_, i) => i % c === 0),
};

function solution(n, slicer, num_list) {
  return slices[n](num_list, slicer);
}
  • slices 객체에 각 case에 해당하는 슬라이싱 함수를 정의하고 있다.
  • n의 값을 이용하여 slices 객체에서 해당 case의 슬라이싱 함수를 호출하고 그 결과를 반환한다.

case마다 해당 함수를 별도 객체에 정의해서 푸는 방식이 신기했다...! 오 객체를 이렇게도 쓸 수 있다니~ 신기해라~

profile
영차영차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