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ystem(디스크 생성)

유희선·2025년 2월 15일
0

Linux

목록 보기
11/18
post-thumbnail

1️⃣ Docker의 단점

Docker > IP 값이 고정이 안 되어서 안정적인 것을 고려해 사용 비추천

2️⃣ Linux

1. grubby

1) 개념

부트로더 설정 관리 > 멀티OS부팅 가능

# grubby 버전 확인
[root@localhost ~]# rpm -qa grubby
grubby-8.40-64.el9.x86_64
# 현재 기본 커널
[root@localhost ~]# sudo grubby --default-kernel
/boot/vmlinuz-5.14.0-503.14.1.el9_5.x86_64
# 현재 사용중인 커널
[root@localhost ~]# uname -a
Linux localhost.localdomain 5.14.0-503.14.1.el9_5.x86_64 #1 SMP PREEMPT_DYNAMIC Fri Nov 15 12:04:32 UTC 2024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 사용가능한 모든 커널
[root@localhost ~]# grubby --info=ALL
# 기본 커널 변경
[root@localhost ~]# grubby --set-default "커널이미지명"

2. I/O 에러

디스크 에러 발생 시, 리눅스에 아래와 관련된 에러를 찾을 수 있기 때문
디스크순서 + 파티션
리눅스는 hotswap 방식(서버가 컴퓨터가 켜져있는 상태에서 디바이스 삽입하면 바로 동작 가능)이 아님
hotswap ex : USB ...

3. VM Disk 종류

(1) SATA(직렬 고급 기술 연결)
-컴퓨터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와 같은 저장 장치 간에
데이터가 이동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프로토콜
(2) NVMe(비휘발성 기억장치 익스프레스)
-플래시 스토리지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에 사용되는 입출력(I/O)당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고도로 병렬화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4. Disk (fdisk of lsblk)

디스크 삽입 > 전원on > 파티셔팅 > 포맷팅 > 마운팅 > fstab > reboot

(3) 파티셔팅

fdisk (/dev/(새로만든디바이스명))
fdisk /dev/nvme0n2

(4) 포맷팅
데이터를 어떻게 쌓아올릴 것인지 결정 > 파일시스템
윈도우 : NTFS , 리눅스 : e

mkfs -t /dev/(새로만든 디바이스+파티션명)
= 
mkfs.ext4 /dev/(새로만든 디바이스+파티션명)
mkfs -t /dev/nvme0n2p1

(5) 마운팅

df -Th > 용량이 단위로 나타남
[root@localhost ~]#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devtmpfs  4.0M     0  4.0M   0% /dev
tmpfs               tmpfs     871M     0  871M   0% /dev/shm
tmpfs               tmpfs     349M  7.2M  342M   3% /run
/dev/mapper/rl-root xfs        17G  4.5G   13G  27% /
/dev/nvme0n1p1      xfs       960M  458M  503M  48% /boot
tmpfs               tmpfs     175M  104K  175M   1% /run/user/1000
/dev/sr0            iso9660    11G   11G     0 100% /run/media/popoo/Rocky-9-5-x86_64-dvd

새로 만든 디바이스가 없음 ,, 마운트 포인트를 만들어줘야 함 (I/O까지 완료)

[root@localhost ~]# mkdir /data1                 //경로 생성
[root@localhost ~]# mount /dev/nvme0n2p1 /data1
[root@localhost ~]#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nvme0n2p1      ext4      4.9G   24K  4.6G   1% /data1
<mount를 취소할 경우>
umount /(경로)
<확인>
lsof /(경로)            //시스템에 있는 모든 열린 파일 정보 출력
mount | grep /(경로)

저널링(journaling) 기능 (ext3 이후부터 지원)
: 파일시스템이 깨지는 것과 같은 시스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어디까지 정상 처리됐고,
어디서부터 재실행하면 되는지 알 수 있도록 저널을 남겨두는 기능

drwx------.  2 root root 16384 Feb 14 16:25 lost+found

(6) fstab (reboot해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함)

vi /etc/fstab

파티션이름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종류	옵션         덤프  파일체크_옵션
/dev/nvme0n2p1   /data1         ext4           defaults     0    0
mount -a
profile
가즈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