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김개발

2021-10-28

오늘은 S3에있는 파일의 이미지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옮기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봤다.300개가 넘는 파일들을 처리해야했기 때문에 손으로 옮기는 것은 너무 힘들었고 시간안에 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고 되든안되든 한번 만들어봐야겠다 라고 느껴서 한번 만들어봤다.우선 S

2021년 10월 29일
·
0개의 댓글
·

2021-10-27

오늘은 실전프로젝트 팀원분들을 실제로 만나서 프런트와 백엔드의 데이터를 어떤식으로 넘겨주고 받을지 규칙을 정했다.이후 노션에 Response와 Error양식을 업그레이드 했고상세페이지와 가본 장소 리스트추가 API를 완성시켰다.API를 완성하고 난 후 코드를 보니까 M

2021년 10월 27일
·
0개의 댓글
·

2021-10-26

오늘은 실전프로젝트 디자인이 완성이되어서 드디어 코딩단계에 들어갔다.우선 가장 먼저할 수 있는 로그인, 회원가입을 빠르게 완성하기로 했고 이후 TEST DB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넣은 후 한번 실행시키기로 했다.프로젝트에대한 서면피드백을 받았는데 생각보다 지적받은점이 많

2021년 10월 26일
·
0개의 댓글
·

2021-10-25

오늘은 카카오 API를 활용해 주변 위치를 가져오기로 했다.크롤링을해서 한번에 가져오고 싶었지만 생각보다 쉽지가 않았고일단 이미지는 저작권때문에 나중에 개인적으로 하나씩 가져오려고 한다.그리고 DB를 다시 설계하고 또 구조를 바꿨다..DB구조를 최대한 잘 짜려고 했는데

2021년 10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021-10-24

오늘은 실전프로젝트 전 와이어프레임을 상세하게 설계하고 기능을 조금 더 세분화 해서 나눴다.이후 API설계를 하고 MySQL설계를 했는데 생각보다 굉장히 헷갈리고 어려웠다.이렇게 DB를 진지하게 짜본적이 없어서 구조를 어떤식으로 잡아야할 지 조금 어려웠다.IA에 대해서

2021년 10월 24일
·
0개의 댓글
·

2021-10-23

오늘은 실전프로젝트 첫날이라서 개발팀끼리 우선 주제와 개발 방향을 정하고이후에 디자인분들과 함께 와이어프레임을 어떤식으로 작성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실전프로젝트 하기 전 팀워크를 증진시키기 위해 오프라인으로 만나서 서로의 꿈, 되고싶은 개발자등 개인적인 이야기를

2021년 10월 24일
·
0개의 댓글
·

2021-10-21

오늘은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를 sequelize로 리펙토링했고 프런트분들과 이야기를 하여 데이터 양식이나, 구조 등을 조금씩 바꿨다.그리고 곧 있을 실전프로젝트를 대비하여 mysql구문을 공부했다.mysql에 대해서 너무 몰랐다고 느꼈다.특히 서브쿼리부분에서 이런것이

2021년 10월 21일
·
0개의 댓글
·

2021-10-20

오늘은 클론코딩 데이터넣는 방식을 모두 SubDocument로 바꿨다.그 후 멘토링이 있어서 백엔드에 대한 많은 질문을 했는데 다행히멘토분이 다 받아주셔서 퀄리티있는 답을 알게 되었다.이번에는 전체페이지에서 Comment내용도 함께 프런트엔드로 보내줘야하기 때문에 Su

2021년 10월 20일
·
0개의 댓글
·

2021-10-19

오늘은 multer-s3-transform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하여올리는 작업을 시작했다.무려 이미지 용량이 50배나 줄어들었다.하나의 이미지는 업로드할때 큰 속도는 아니지만 만약에 이미지가 100개 1000개 있다면 서버에서 엄청난속도 차이가 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2021년 10월 19일
·
0개의 댓글
·

2021-10-18

오늘부터 1주일간 클론코딩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이번 프로젝트는 정말 API설계를 촘촘히 해야겠다고 생각했고 Front-end분들과 함께 의견을 조율하며 설계를 했다.또 개발의 범위를 너무 욕심내지 않고 1주일이라는 시간동안 기본적인 것을끝내면 그때 다시 기능을 추가하

2021년 10월 18일
·
0개의 댓글
·

2021-10-16

오늘은 미니프로젝트를 배포하고 멘토님과 프로젝트에 대해서많은 상담을 가졌다.역시 배포 전에는 오류가 생기는 날이다.사실상 하루종일 오류를 고친 것 같다.아침에는 게시판 전체조회를 할때 필요한 정보들을한곳에 모아서 보내주는 작업을 시작했다.map을 사용하여 객체를 추가해

2021년 10월 16일
·
0개의 댓글
·

2021-10-15

오늘은 winston이라는 모듈을 사용하여로그를 파일로 관리하는 법을 조금 공부해보고 미니프로젝트에 적용시켜봤다.만약 치명적 오류로 서버가 꺼졌는데 로그가 기록되어있지 않다면 원인을 알수가 없을 것이다.그리고 똑같은 현상이 반복되어 일어날 수 있다.이를 위해서 로그가

2021년 10월 15일
·
0개의 댓글
·

2021-10-14

오늘은 미니프로젝트 2 서버쪽의 에러처리 및 오류를 처리했다.생각보다 에러가 많아서 시간이 오래걸렸고 배포를 하고 데이터베이스, 카카오인증 등의 url을 바꾸지 않아서 많이 애먹었다.에러를 다 고친 후 socket io에 대해서 공부를 조금 더 해봤다.역시 어렵다...

2021년 10월 14일
·
0개의 댓글
·

2021-10-13

오늘은 미니프로젝트에 passport를 이용한 카카오로그인을 만들었다.사실 코딩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한번 구현해 봤었는데그때 했던 코딩과 지금 이해하면서 하는 코딩은완전히 다른 것 같다.이후 서버를 배포했고 CORS설정 까지 해둬서 프런트엔드분들이 이 서버를 통해통

2021년 10월 13일
·
0개의 댓글
·

2021-10-12

오늘은 sequelize 공부를 했다.특히 sequelize-cli를 사용하여 모델들을 작성했는데 굉장히 편했지만 그만큼 조금 어려웠다.이후 어제 해놓은 mongoose 코드를 sequelize코드로 한번 바꿔봤다.cli를 사용하여 db를 만들고 model을 만들고 m

2021년 10월 12일
·
0개의 댓글
·

2021-10-11

오늘부터 일주일간 미니프로젝트 2를 시작한다.팀끼리 모여서 무엇을 개발할지 컨셉을 정하고, 와이어프레임을 그리고, git branch를 서버와 프런트 따로 만들고 이후 기능별로 branch를 만들었다.서버쪽은 기본적인 내 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판 CRUD, 댓

2021년 10월 11일
·
0개의 댓글
·

2021-10-09

HTTP/HTTPS 프로토콜이 아닌 gRPC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서버 프로그램은 API 서버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배포된 환경, 구현된 기능은 동일)gRPG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서버 프로그램은 API라고 부를수 있다.기본저긍로 gRPC는 구글에서 만든 RPC 플랫폼

2021년 10월 9일
·
0개의 댓글
·

TIL 2021-10-08

오늘은 Swagger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작성 해봤다.Swagger는 OpenApi를 사용해 API 문서를 더 관리하기 쉽고프런트와 백엔드 사이에 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툴이다.과제를 끝낸사람들이 보너스로 공부해라는 느낌이었기 때문에 사실 Swagg

2021년 10월 8일
·
0개의 댓글
·

TIL 2021-10-07

오늘은 노드 심화 과제 코드를 리팩토링했다.이전코드:리팩토링 코드:보다시피 이렇게 괄호가 많고 길었던 코드들이 아래처럼 간단하고 깔끔한 코드로 변경되었다.이런 코드들이 3, 4개 정도 있어서 코드 양이 굉장히 줄어들고 가독성이 증가했다.이후 항해 톡 발표를 위해 이것저

2021년 10월 8일
·
0개의 댓글
·

TIL 2021-10-06

오늘은 도커, CI, CD 실습을 한번 해봤다.도커를 이용해 react, node앱을 담았고travis CI를 사용하여 깃허브 master branch에 push가 될 때 마다 테스트하고 통과되면 elasticbeanstalk을 사용해 S3, ec2에 자동 배포까지 했

2021년 10월 7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