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ean과 Bean을 등록하는 방법

YOBY·2023년 9월 14일
0

Component Scanning을 통한 자동 등록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등의 어노테이션을 적용하여 Spring Bean으로 등록할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을 통한 수동 등록

Java Config 클래스를 생성하여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적용하고, @Bean 어노테이션을 메서드에 적용하여 등록할수 있습니다.


Spring Bean의 라이프 사이클은 크게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눌수있습니다.

  1. Bean 정의
    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스프링 설정 파일(XML 또는 JavaConfig)이나 어노테이션을 통해 Bean을 정의하고 등록합니다.

  2. Bean 생성
    컨테이너는 Bean의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하여 객체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 컨테이너가 담당합니다.

  3. 의존성 주입
    Bean이 생성된 후, 해당 Bean이 필요로 하는 의존성을 주입합니다.
    스프링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의존성 주입을 처리합니다.

  4. Bean 초기화
    Bean이 생성되고 의존성이 주입된 후, 초기화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주로 Bean이 사용될 준비 작업을 수행합니다.

  5. Bean 사용
    Bean이 초기화된 후에는 다른 Bean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6. Bean 소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필요에 따라 컨테이너가 Bean을 소멸시킵니다. 이때 종료 전에 필요한 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스프링은 Bean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동작시킵니다.
Bean의 생명주기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