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LAN)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처럼 생긴 것이다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이더넷용, 토큰링용, FDDI, ATM용 랜카드 등으로 구분된다.
허브는 컴퓨터 네크워크에서 데이터 신호를 받아 다른 모든 연결된 장치로 중계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다. 허브는 네트워크 장치 간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허브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를 연결된 모든 포트로 복제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물리적 레이어 장비 : 허브는 OSI모델에서 물리적 레이어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프레임을 받아 모든 연결 장치로 중계한다
브로드캐스트 : 허브는 데이터를 받으면 연결된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중계한다. ( 데이터를 보낸 호스트는 제외 ) 이로 인해 네트워크 내의 모든 호스트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며. 랜카드에서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맥 어드레스를 보고 자기의 것이 아니면 버리게 된다.
콜리전 도메인 : 이더넷 허브인 만큼 CSMA/CD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하나의 PC가 데이터를 보내고 있을 때 또 다른 PC가 데이터를 보내려하면 콜리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PC는 모두 ' 같은 콜리전 도메인 ( Collision Domain )에 있다' 라고 말한다.
그 의미는 하나의 PC가 통신을 하게 되면 다른 모든 PC는 통신을 할 수 없게 되고, 또 이 허브에 붙어있는 하나의 PC에서 콜리전이 발생하면 모든 PC가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이다.
허브의 콜리전 도메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장치
1,2포트 PC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안 3,4포트 PC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비.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뉘어 있다' 라고 한다.
1,2번 PC 사이에서 통신이 일어나면 나머지 모든 PC를 기다려야만 하는 허브와 달리 다른 PC들도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 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이다.
허브에 비해 데이터 처리 방법이 우수하고, 데이터 전송 에러 등을 복구해 주는 기능이 있다.
브리지는 허브보다 한 수 위의 장비이며, 허브는 나누지 못하는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한다.
중간에서 브리지 테이블을 보면서 통신이 다리 한쪽에서만 일어나면 데이터가 다리를 못 건너가고, 통신 데이터가 다리를 통과해야만 가능하다면 그때만 다리를 건너게 해준다.
즉, 1,2와 3,4번의 PC사이에 다리 ( 브릿지 )를 세위 1,2이 통신하는 과정에도 3,4번이 통신이 가능하며, 1,3이 통신하고자 하면 그때만 다리( 브릿지 )를 열어준다.
- Learning. 배운다
- Flooding. 모르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뿌린다.
- Forwarding. 해당 포트로 건네준다.
- Filterling. 다른 포트로 못 건너가게 막는다.
- Aging. 나이를 먹는다.
브릿지가 목적지의 맥 어드레스를 알고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 브릿지를 건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브릿지는 다리를 막는 필터링을 실시하게 된다.
브릿지의 필터링 기능 때문에 허브와는 다르게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것이다.
프레임이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돌기 때문에 이더넷의 특성상 네트워크의 상태가 조용해야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때문에 계속 다른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하고,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결과 :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증하고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된다.
네트워크의 혼돈을 초래하고, 호스트 간 통신을 방해하며 데이터 패킷의 무한한 전송을 초래한다.
해결 :
1.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모든 목적지의 경로를 하나만 있도록 만들어준다.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이란?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을 미리 방지하고자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를 자동으로 막아두었다가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이다.
대게 모든 스위치는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 라우터는 스위치에 비해 가격↑, 속도↓, 구성의 편리함↓ 이다.
- 그럼 왜 싸고 빠르고 편리한 스위치만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지않고 라우터를 사용할까?
브로드캐스트 이슈: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도메인)이라고 생각한다면
저 멀리 미국에 있는 PC가 켜졌다 꺼져도 우리나라에 있는 PC까지 전달이 된다.
또한 통신을 할때 상대편의 맥 주소를 찾기 위한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를 사용하는, 이게 바로 브로드캐스트이다.
만약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면 제대로 PC를 사용하는 것 조차 불가능하다 ( 브로드캐스트는 CPU에 영향을 주기때문)
만약 스위치로만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면
콜리전 도메인의 영역은 커지지않지만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영역이 커진다.
따라서 한번의 호스트A의 브로드캐스트가 모든 호스트에게 영향을 주게 되어 PC의 성능이 저하된다.
라우터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어 트래픽을 관리한다.
보안, 필터링
스위치는 보장 못하는 보안 기능, 즉 패킷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전송을 막았다 풀었다 하는 필터 기능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트래픽이 전송되는 것을 막는다.
로드 분배
여러개의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여러 경로를 타고 날아갈 수 있다.
따라서 한쪽 경로에 문제가 생기거나 트래픽이 부하되면 균형 있게 분산시킨다.
( 스위치도 로드 분배가 가능하지만 매우 제한적 )
허브 (Hub):
스위치 (Switch):
라우터 (Router):
요약하면, 허브는 단순한 데이터 중계 장치이고,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여 스마트한 패킷 전송을 지원하며,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보안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네트워크 장비입니다.